건축기사 랜덤

건축계획


1. 상점 건축의 진열장 배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손님 쪽에서 상품이 효과적으로 보이도록 계획한다.
  •  들어오는 손님과 종업원의 시선이 정면으로 마주치도록 계획한다.
  •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손님에게 감시한다는 인상을 주도록 계획한다.
  •  동선이 원활하여 다수의 손님을 수용하고 가능한 다수의 종업원으로 관리하게 한다.

2. 고딕 성당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중앙집중식 배치를 지배적으로 사용하였다.
  •  건축 형태에서 수직성을 강하게 강조하였다.
  •  고딕 성당으로는 랭스 성당, 아미앵 성당 등이 있다.
  •  수평 방향으로 통일되고 연속적인 공간을 만들었다.

3. 다음 중 사무소 건축의 기준층 층고 결정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채광률
  •  사용목적
  •  계단의 형태
  •  공조시스템의 유형

4. 다음 설명에 알맞은 공장건축의 레이아웃 형식은?   
- 동종의 공정, 동일한 기계 설비 또는 기능이 유사한 것을 하나의 그룹으로 집합시키는 방식
- 다종 소량 생산의 경우, 예상 생산이 불가능한 경우, 표준화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경우에 채용
  •  고정식 레이아웃
  •  혼성식 레이아웃
  •  공정중심의 레이아웃
  •  제품중심의 레이아웃

5. 다음 중 시티 호텔에 속하지 않는 것은?
  •  비치 호텔
  •  터미널 호텔
  •  커머셜 호텔
  •  아파트먼트 호텔

6. 호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커머셜 호텔은 일반적으로 고밀도의 고층형이다.
  •  터미널 호텔에는 공항 호텔, 부두 호텔, 철도역 호텔 등이 있다.
  •  리조트 호텔의 건축 형식은 주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  레지던셜 호텔은 여행자의 장기간 체재에 적합한 호텔로서, 각 객실에는 주방 설비를 갖추고 있다.

7. 테라스 하우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경사가 심할수록 밀도가 높아진다.
  •  각 세대의 깊이는 7.5m 이상으로 하여야한다.
  •  평지보다 더 많은 인구를 수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  시각적인 인공테라스형은 위층으로 갈수록 건물의 내부면적이 작아지는 형태이다.

8. 학교 건축에서 단층 교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내진∙내풍구조가 용이하다.
  •  학습 활동을 실외로 연장할 수 있다.
  •  계단이 필요없으므로 재해 시 피난이 용이하다.
  •  설비 등을 집약할 수 있어서 치밀한 평면계획이 용이하다.

9. 메조넷형(Maisonette Type) 아파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설비, 구조적인 해결이 유리하며 경제적이다.
  •  통로가 없는 층의 평면은 프라이버시 확보에 유리하다.
  •  통로가 없는 층의 평면은 화재 발생 시 대피 상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  엘리베이터 정지층 및 통로 면적의 감소로 전용면적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다.

10. 쇼핑센터의 공간구성에서 고객을 각 상점에 유도하는 주요 보행자 동선인 동시에 고객의 휴식처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는 곳은?
  •  몰(Mall)
  •  허브(Hub)
  •  코드(Court)
  •  핵상점(Magnet store)

11. 아파트에 의무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장애인ㆍ노인ㆍ임산부 등의 편의시설에 속하지 않는 것은?
  •  점자블록
  •  장애인전용 주차주역
  •  높이 차이가 제거된 건축물 출입구
  •  장애인 등의 통행이 가능한 접근로

12. 아파트의 단면형식 중 메조넷 형식(maisonnette typ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하나의 주거단위가 복층 형식을 취한다.
  •  양면 개구부에 의한 통풍 및 채광이 좋다.
  •  주택 내의 공간의 변화가 없으며 통로에 의해 유효면적이 감소한다.
  •  거주성, 특히 프라이버시는 높으나 소규모 주택에는 비경제적이다.

13. 다음 중 건축요소와 해당 건축요소가 사용된 건축양식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  장미창(Rose Window) - 고딕
  •  러스티케이션(Rustcation) - 르네상스
  •  첨두아치(Poinred Arch) - 로마네스크
  •  펜덴티브 돔(Pendentive Done) - 비잔틴

14. 아파트의 평면형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홀형은 통행부 면적이 작아서 건물의 이용도가 높다.
  •  중복도형은 대지 이용률이 높으나, 프라이버시가 좋지 않다.
  •  집중형은 채광ㆍ통풍 조건이 좋아 기계적 환경조절이 필요하지 않다.
  •  홀형은 계단실 또는 엘리베이터 홀로부터 직접 주거 단위로 들어가는 형식이다.

15. 도서관 출납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폐가식은 서고와 열람실이 분리되어 있다.
  •  반개가식은 새로 출간된 신간 서적 안내에 채용된다.
  •  안전개가식은 서가 열람이 가능하여 도서를 직접 뽑을 수 있다.
  •  자유개가식은 이용자가 자유롭게 도서를 꺼낼 수 있으나 열람석으로 가기 전에 관원에게 체크를 받는 형식이다.

16. 연속적인 주제를 선(線)적으로 관계성 깊게 표현하기 위하여 전경(全景)으로 펼치도록 연출하는 것으로 맥락이 중요시될 때 사용되는 특수전시기법은?
  •  아일랜드 전시
  •  파노라마 전시
  •  하모니카 전시
  •  디오라마 전시

17. 극장건축에서 무대의 제일 뒤에 설치되는 무대 배경용의 벽을 의미하는 것은?
  •  사이클로라마
  •  플라이 로프트
  •  플라이 갤러리
  •  그리드 아이언

18. 봉정사 극락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지붕은 팔작지붕의 형태를 띠고 있다.
  •  공포를 주상에만 짜놓은 주심포 양식의 건축물이다.
  •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목조 건축물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  정면 3칸에 측면 4칸의 규모이며 서남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19. 탑상형 공동주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건축물 외면의 입면성을 강조한 유형이다.
  •  각 세대에 시각적인 개방감을 줄 수 있다.
  •  각 세대의 채광, 통풍 등 자연조건이 동일하다.
  •  도시의 랜드마크(landmark)적인 역할이 가능하다.

20. 주거단지의 각 도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격자형 도로는 교통을 균등 분산시키고 넓은 지역을 서비스할 수 있다.
  •  선형 도로는 폭이 넓은 단지에 유리하고 한쪽 측면의 단지만을 서비스할 수 있다.
  •  루프(loop)형은 우회도로가 없는 쿨데삭(cul-de-sac)형의 결점을 개량하여 만든 유형이다.
  •  쿨데삭(cul-de-sac)형은 통과교통을 방지함으로써 주거환경의 쾌적성과 안정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

건축시공


21. 고층건축물 공사의 반복작업에서 각 작업조의 생산성을 기울기로 하는 직선으로 각 반복작업의 진행을 표시하여 전체공사를 도식화 하는 기법은?
  •  CPM
  •  PERT
  •  PDM
  •  LOB

22. 잔류유(찌꺼기)를 저온으로 장시간 증류한 것으로 응집력이 크고 온도에 의한 변화가 적으며 연화점이 높고 안전하여 방수공사에 많이 사용되는 것은?
  •  아스팔트 아스팔트
  •  블로운 아스팔트
  •  아스팔타이트
  •  레이크 아스팔트

23. 다음 중 조적벽 치장줄눈의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은?
  •  오목줄눈
  •  빗줄눈
  •  통줄눈
  •  실줄눈

24. 콘크리트의 크리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습도가 높을수록 크리프는 크다.
  •  물-시멘트 비가 클수록 크리프는 크다.
  •  콘크리트의 배합과 골재의 종류는 크리프에 영향을 끼친다.
  •  하중이 제거되면 크리프 변형은 일부 회복된다.

25. 건설사업자원 통합 전산망으로 건설 생산활동 전 과정에서 건설 관련 주체가 전산망을 통해 신속히 교환·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합 정보시스템을 지칭하는 용어는?
  •  건설 CIC(Computer Integraded Construction)
  •  건설 CALS(Continuous Acquisition &Life Cycle Support)
  •  건설 EC(Engineering Construction)
  •  건설 EVMS(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

26. 지내력을 갖춘 지반으로 만들기 위한 배수공법 또는 탈수공법이 아닌 것은?
  •  샌드 드레인 공법
  •  웰 포인트 공법
  •  페이퍼 드레인 공법
  •  베노토 공법

27. 건축공사의 원가계산상 현장의 공사용수설비는 어느 항목에 포함되는가?
  •  재료비
  •  외주비
  •  가설공사비
  •  콘크리트 공사비

28. 표준시방서에 따른 시스템비계에 관한 기분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수직재와 수직재의 연결은 전용의 연결조인트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연결하고, 연결 부위가 탈락 또는 꺾어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  수평재는 수직재에 연결핀 등의 결합 방법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어 흔들리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  대각으로 설치하는 가새는 비계의 외면으로 수평면에 대해 40°~60°방향으로 설치하며 수평재 및 수직재에 결속한다.
  •  시스템 비계 최하부에 설치하는 수직재는 받침 철물의 조절너트와 밀착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며, 수직과 수평을 유지하여야 한다. 이 때, 수직재와 받침 철물의 겹침길이는 받침 철물 전체길이의 5분의 1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29. 도장공사에서의 뿜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큰 면적을 균등하게 도장할 수 있다.
  •  스프레이건과 뿜칠면 사이의 거리는 30cm를 표준으로 한다.
  •  뿜칠은 도막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겹치지 않게 순차적으로 이행한다.
  •  뿜칠 공기압은 2~4kg/cm2를 표준으로 한다.

30. MCX(Minimum Cost Expediting)기법에 의한 공기단축에서 아무리 비용을 투자해도 그 이상 공기를 단축할 수 없는 한계점을 무엇이라 하는가?
  •  표준점
  •  포화점
  •  경제 속도점
  •  특급점

31. 도장공사 시 희석제 및 용제로 활용되지 않은 것은?
  •  테레빈유
  •  벤젠
  •  티탄백
  •  나프타

32. 다음 중 비철금속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알루미늄
  •  탄소강
  •  동
  •  아연

33. 철근의 가공ㆍ조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철근배근도에 철근의 구부리는 내면 반지름의 표시되어 있지 않은 때에는 건축구조기준에 규정된 구부림의 최소 내면 반지를 이하로 철근을 구부려야 한다.
  •  철근은 상온에서 가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철근 조립이 끝난 후 철근배근도에 맞게 조립되어 있는지 검사하여야 한다.
  •  철근의 조립은 녹, 기름 등을 제거한 후 실시한다.

34. 지반조사 중 보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보링의 깊이는 일반적인 건물의 경우 대략 지지 지층 이상으로 한다.
  •  채취시료는 충분히 햇빛에 건조시키는 것이 좋다.
  •  부지 내에서 3개소 이상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보링 구멍은 수직으로 파는 것이 중요하다.

35. VE(Value Engineering)의 사고방식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제도, 법규 위주의 사고
  •  비용절감
  •  발주자, 사용자 중심의 사고
  •  기능 중심의 사고

36. 용접작업 시 용착금속 단면에 생기는 작은 은색의 점을 무엇이라 하는가?
  •  피시 아이(fish eye)
  •  블로 홀(blow hole)
  •  슬래그 함입(slag inclusion)
  •  크레이터(crater)

37. 콘크리트 중 공기량의 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AE제의 혼입량이 증가하면 연행공기량도 증가한다.
  •  시멘트 분말도 및 단위시멘트량이 증가하면 공기량은 증가한다.
  •  잔골재 중의 0.15 ~ 0.3mm의 골재가 많으면 공기량은 감소한다.
  •  슬럼프가 커지면 공기량은 감소한다.

38. 창호철물 중 여닫이 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은?
  •  도어 행거(door hanger)
  •  도어 체크(door check)
  •  실린더 록(cylinder lock)
  •  플로어 힌지(floor hinge)

39. 콘크리트의 내화, 내열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  콘크리트의 내화, 내열성은 사용한 골재의 품질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  콘크리트는 내화성이 우수해서 600℃ 정도의 화열을 장시간 받아도 압축강도는 거의 저하하지 않는다.
  •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내화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철근의 피복두께를 충분히 하면 좋다.
  •  화재를 입은 콘크리트의 탄산화 속도는 그렇지 않은 것에 비하여 크다.

40. 건물의 중앙부만 남겨두고, 주위부분에 먼저 흙막이를 설치하고 굴착하여 기초부와 주위벽체, 바닥판 등을 구축하고 난 다음 중앙부를 시공하는 터파기 공법은?
  •  복수공법
  •  지멘스웰 공법
  •  트렌치 컷 공법
  •  아일랜드 컷 공법

건축구조


41. 다음과 같은 단순보의 최대 처짐량(δmax)이 30cm 이하가 되기 위하여 보의 단면 2차모멘트는 최소 얼마 이상이 되어야하는가? (단, 보의 탄성계수는 E=1.25×104N/mm2)(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2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 답안 발표시 전항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  15000 cm4
  •  16700 cm4
  •  20000 cm4
  •  25000 cm4

42. 강도설계법에서 처짐을 계산하지 않는 경우, 철근 콘크리트 보의 최소두께 규정으로 옳은 것은? (단, 보통콘크리트 mc=2300 kg/m3와 설계기준 항복강도 400MPa 철근을 사용한 부재)
  •  1단연속 : l/18.5
  •  단순지지 : l/15
  •  양단연속 : l/24
  •  캔틸레버 : l/10

43.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서 A점 및 B점에서의 반력을 각각 RA, RB라 할 때 반력의 크기로 옳은 것은?
  •  RA=3kN, RB=2kN
  •  RA=2kN, RB=3kN
  •  RA=2.5kN, RB=2.5kN
  •  RA=4kN, RB=1kN

44. 강구조 고장력볼트 마찰접합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시공이 용이하여 공기가 절약된다.
  •  접합부의 강성과 강도가 크다.
  •  품질관리가 용이하다.
  •  국부적인 응력집중이 발생한다.

45. 그림과 같은 부정정 라멘의 B.M.D에서 P값을 구하면?    
  •  20 kN
  •  30 kN
  •  50 kN
  •  60 kN

46. 철골보의 처짐을 적게 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보의 길이를 길게 한다.
  •  웨브의 단면적을 작게 한다.
  •  상부플랜지의 두께를 줄인다.
  •  단면2차모멘트 값을 크게 한다.

47. 그림과 같은 보에서 A점에서 200kN m의 모멘트가 작용하였을 때 B점이 지지하는 모멘트 및 수직반력은?
  •  Mʙᴀ=200kN·m, Vʙ=100kN
  •  Mʙᴀ=200kN·m, Vʙ=50kN
  •  Mʙᴀ=100kN·m, Vʙ=100kN
  •  Mʙᴀ=100kN·m, Vʙ=50kN

48. 다음 그림과 같은 부정정보를 정정보로만들기 위해 필요한 내부 힌지의 최소 개수는?
  •  1 개
  •  2개
  •  3개
  •  4 개

49. 그림과 같은 트러스에서 ‘가’ 및 ‘나’ 부재의 부재력을 옳게 구한 것은? (단, -는 압축력, +는 인장력을 의미한다.)    
  •  가=-500kN, 나=300kN
  •  가=-500kN, 나=400kN
  •  가=-400kN, 나=300kN
  •  가=-400kN, 나=400kN

50. 횡력의 25% 이상을 부담하는 연성모멘트 골조가 전단벽이나 가새골조와 조합되어 있는 구조방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  재진시스템방식
  •  면진시스템방식
  •  이중골조방식
  •  메가칼럼-전단벽 구조방식

51. 그림과 같은 구조물에 있어 AB부재의 재단모멘트 MAB는?
  •  0.5kN·m
  •  1kN·m
  •  1.5kN·m
  •  2kN·m

52. 철근 콘크리트 단순보에서 순간탄성처짐이 0.9mm이었다면 1년 뒤 이 부재의 총처짐량을 구하면? (단, 시간경과계수 ξ=1.4, 압축철근비 ρ′=0.01071)
  •  1.52mm
  •  1.72mm
  •  1.92mm
  •  2.12mm

53. 그림과 같은 트러스(truss)에서 T부재에 발생하는 부재력으로 옳은 것은?    
  •  4 kN
  •  6 kN
  •  8 kN
  •  16 kN

54. 1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에서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가 500MPa인 경우 콘크리트 전체 단면적에 대한 수축·온도 철근비는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KCI2012기준, 이형철근 사용)
  •  0.0015
  •  0.0016
  •  0.0018
  •  0.0020

55.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내구성 설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설계기준 강도가 35MPa을 초과하는 콘크리트는 동해저항 콘크리트에 대한 전체 공기량 기준에서 1% 감소시킬 수 있다.
  •  동해저항 콘크리트에 대한 전체 공기량 기준에서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25mm인 경우 심한노출에서의 공기량 기준은 6.0%이다.
  •  바닷물에 노출된 콘크리트의 철근부식방지를 위한 보통골재콘크리트의 최대 물결합재비는 40%이다.
  •  철근의 부식방지를 위하여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전체 염소이온양은 원칙적으로 0.9kg/m3 이하로 하여야 한다.

56. 양단 힌지인 길이 6m의 H-300×300×10×15의 기둥이 약축방향으로 부재중앙이 가새로 지지되어 있을 때 이 부재의 세장비는? (단 단면2차반경 γx=13.1cm, γy=7.51cm)
  •  40.0
  •  45.8
  •  58.2
  •  66.3

57. 그림과 같은 하중을 받는 단순보에서 단면에 생기는 최대 휨응력도는? (단, 목재는 결함이 없는 균질한 단면이다.)    
  •  8MPa
  •  10MPa
  •  12MPa
  •  15MPa

58. 동일재료를 사용한 캔틸레버 보에서 작용하는 집중하중의 크기가 P1 = P2 일 때, 보의 단면이 그림과 같다면 최대처짐 y1 : y2 의 비는?
  •  2 : 1
  •  4 : 1
  •  8 : 1
  •  16 : 1

59. 강도설계법에서 처짐을 계산하지 않는 경우 스팬이 8.0m인 단순지지된 보의 최소 두께로 옳은 것은? (단, 보통중량콘크리트와 fy=400MPa 철근을 사용한 경우)
  •  380 mm
  •  430 mm
  •  500 mm
  •  600 mm

60. 그림과 같은 원통단면의 핵반경은?    
  •  (D+d)/6
  •  D/8
  •  (D+d)/8
  •  (D2+d2)/8D

건축설비


61. 전기설비용 시설공간(실)의 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변전실은 부하의 중심에 설치한다.
  •  변전실은 외부로부터 전력의 수전이 용이해야 한다.
  •  중앙감시실은 일반적으로 방재센터와 겸하도록 한다.
  •  발전기실은 변전실에서 최소 10m 이상 떨어진 위치에 배치한다.

62. 급탕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팽창탱크는 반드시 개방식으로 해야 한다.
  •  리버스 리턴(reverse-return) 방식은 전 계통의 탕의 순환을 촉진하는 방식이다.
  •  직접가열식 중앙급탕법은 보일러 안에 스케일 부착이 없이 내부에 방식처리가 불필요하다.
  •  간접가열식 중앙급탕법은 저탕조와 보일러를 직결하여 순환가열하는 것으로 고압용 보일러가 주로 사용된다.

63.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통기관의 종류는?    
오배수 수직관 내의 압력변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배수 수직관 상향으로 통기수직관에 연결하는 통기관
  •  결합통기관
  •  공용통기관
  •  각개통기관
  •  반송통기관

64. 면적이 100m2인 어느 강당의 야간 소요 평균조도가 300lx이다. 1개당 광속이 2000lm인 형광등을 사용할 경우 소요 형광등수는? (단, 조명률은 60%이고 감광보상률은 1.5이다.)
  •  25개
  •  29개
  •  34개
  •  38개

65. 흡음 및 차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벽의 차음성능은 투과손실이 클수록 높다.
  •  차음성능이 높은 재료는 흡음성능도 높다.
  •  벽의 차음성능은 사용재료의 면밀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  벽의 차음성능은 동일 재료에서도 두께와 시공법에 따라 다르다.

66. 급수방식 중 고가수조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대규모의 급수 수요에 쉽게 대응할 수 있다.
  •  저수조가 없으므로 단수 시에 급수할 수 없다.
  •  수도 본관의 영향을 그대로 받아 수압 변화가 심하다.
  •  위생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한 방식이다.

67. 변전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건축물의 최하층에 설치하는 것이 원칙이다.
  •  용량의 증설에 대비한 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장소로 한다.
  •  사용부하의 중심에 가깝고, 간선의 배선이 용이한 곳으로 한다.
  •  변전실의 높이는 바닥의 케이블트렌치 및 무근 콘크리트 설치 여부 등을 고려한 유효 높이로 한다.

68. 공기조화방식 중 2중덕트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전공기 방식에 속한다.
  •  덕트가 2개의 계통이므로 설비비가 많이 든다.
  •  부하특성이 다른 다수의 실이나 존에도 적용할 수 있다.
  •  냉풍과 온풍을 혼합하는 혼합상자가 필요없으므로 소음과 진동도 적다.

69. 건축법령상 공동주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기숙사
  •  연립주택
  •  다가구주택
  •  다세대주택
위키해설
클릭하면 보입니다.
  주택공동주택
70. 조명기구의 배광에 따른 분류 중 직접조명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상향광속과 하향광속이 거의 동일하다.
  •  천장을 주광원으로 이용하므로 천장의 색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  매우 넓은 면적이 광원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직사 눈부심이 없다.
  •  작업면에 고조도를 얻을 수 있으나 심한 휘도차 및 짙은 그림자가 생긴다.

71. 다음 중 약전 설비(소세력 전기설비)에 속하지 않는 것은?
  •  조명설비
  •  전기음향설비
  •  감시제어설비
  •  주차관제설비

72. 광원의 연색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고압수은램프의 평균 연색평가수(Ra)는 100이다
  •  연색성을 수치로 나타낸 것을 연색평가수라고 한다.
  •  평균 연색평가수(Ra)가 100에 가까울수록 연색성이 좋다.
  •  물체가 광원에 의하여 조명될 때, 그 물체의 색의 보임을 정하는 광원의 성질을 말한다.

73. 냉각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고압의 액체냉매를 증발시켜 냉동효과를 얻게 하는 설비이다.
  •  증발기에서 나온 수증기를 냉각시켜 물이 되도록 하는 설비이다.
  •  대기 중에서 기체냉매를 냉각시켜 액체냉매로 응축하기 위한 설비이다.
  •  냉매를 응축시키는데 사용된 냉각수를 재사용하기 위하여 냉각시키는 설비이다.

74. 다음 중 수격작용의 발생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밸브의 급페쇄
  •  감압밸브의 설치
  •  배관방법의 불량
  •  수도본관의 고수압(高水壓)

75. 주철제 보일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재질이 약하여 고압으로는 사용이 곤란하다.
  •  섹션(section)으로 분할되므로 반입이 용이하다.
  •  재질이 주철이므로 내식성이 약하여 수명이 짧다.
  •  규모가 비교적 작은 건물의 난방용으로 사용된다.

76. 양수량이 1m3/min, 전양정이 50m인 펌프에서 회전수를 1.2배 증가시켰을 때 양수량은?
  •  1.2배 증가
  •  1.44배 증가
  •  1.73배 증가
  •  2.4배 증가

77.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소화기구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연면적 기준은?
  •  10m2 이상
  •  25m2 이상
  •  33m2 이상
  •  50m2 이상
위키해설
클릭하면 보입니다.
  환기횟수
78. 실내에 4500W를 발열하고 있는 기기가 있다. 이 기기의 발열로 인해 실내 온도상승이 생기지 않도록 환기를 하려고 할 때, 필요한 최소 환기량은? (단, 공기의 밀도 1.2kg/m3, 비열 1.01kJ/kgㆍK, 실내온도 20℃, 외기온도 0℃이다.)
  •  약 452m3/h
  •  약 668m3/h
  •  약 856m3/h
  •  약 928m3/h

79. 수량 22.4 m3/h 를 양수하는데 필요한 터빈 펌프의 구경으로 적당한 것은? (단, 터빈 펌프 내의 유속은 2m/s로 한다.)
  •  65mm
  •  75mm
  •  100mm
  •  125mm

80. 엘리베이터의 조작 방식 중 무운전원 방식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것은?
승객 스스로 운전하는 전자동 엘리베이터로, 승강장으로부터의 호출 신호로 기동, 정지를 이루는 조작 방식이며, 누른 순서에 상관없이 각 호출에 응하여 자동적으로 정지한다.
  •  단식자동방식
  •  카 스위치방식
  •  승합전자동방식
  •  시그널 콘트롤 방식

건축법규


81. 도시ㆍ군계획 수립 대상지역의 일부에 대하여 토지 이용을 합리화하고 그 기능을 증진시키며 미관을 개선하고 양호한 환경을 확보하며, 그 지역을 체계적ㆍ계획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수립하는 도시ㆍ군관리계획은?
  •  지구단위계획
  •  도시ㆍ군성장계획
  •  광역도시계획
  •  개발밀도관리계획

82. 건축물의 건축 시 허가 대상 건축물이라 하더라도 미리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에게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신고를 하면 건축허가를 받은 것으로 보는 소규모 건축물의 연면적 기준은?
  •  연면적의 합계가 100m2 이하인 건축물
  •  연면적의 합계가 150m2 이하인 건축물
  •  연면적의 합계가 200m2 이하인 건축물
  •  연면적의 합계가 300m2 이하인 건축물

83. 시가화조정구역에서 시가화유보기간으로 정하는 기간 기준은?
  •  1년 이상 5년 이내
  •  3년 이상 10년 이내
  •  5년 이상 20년 이내
  •  10년 이상 30년 이내

84. 대형건축물의 건축허가 사전승인신청 시 제출 도서의 종류 중 설계설명서에 표시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  공사금액
  •  개략공정계획
  •  교통처리계획
  •  각부 구조계획

85. 오피스텔에 설치하는 복도의 유효너비는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건축물의 연면적은 300제곱미터이며, 양옆에 거실이 있는 복도의 경우이다.)
  •  1.2m
  •  1.8m
  •  2.4m
  •  2.7m

86. 다음 중 방화구조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  시멘트모르타르 위에 타일을 붙인 것으로서 그 두께의 합계가 2.5cm 이상인 것
  •  석고판 위에 회반죽을 바른 것으로서 그 두께의 합계가 2.5cm 이상인 것
  •  철망모르타르로서 그 바름두께가 1.5cm 이상인 것
  •  심벽에 흙으로 맞벽치기한 것

87. 판매시설 용도이며 지상 각 층의 거실면적이 2,000m2인 15층의 건축물에 설치하여야 하는 승용승강기의 최소 대수는? (단, 16인승 승강기이다.)
  •  2대
  •  4대
  •  6대
  •  8대

88. 다음 중 부설주차장 설치대상 시설물의 종류와 설치기준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  골프장-1홀당 10대
  •  숙박시설-시설면적 200m2당 1대
  •  위락시설-시설면적 150m2당 1대
  •  문화 및 집회시설 중 관람장-정원 100명당 1대

89. 건축물의 면적, 높이 및 층수 산정의 기본 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대지면적은 대지의 수평투영면적으로 한다.
  •  연면적은 하나의 건축물 각 층의 거실면적의 합계로 한다.
  •  건축면적은 건축물의 외벽(외벽이 없는 경우에는 외각 부분의 기둥)의 중심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수평투영면적으로 한다.
  •  바닥면적은 건축물의 각 층 또는 그 일부로서 벽, 기둥,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구획의 중심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수평투영면적으로 한다.

90. 부설주차장의 설치대상 시설물 종류와 설치 기준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  위락시설 – 시설면적 150 m2 당 1대
  •  종교시설 – 시설면적 150 m2 당 1대
  •  판매시설 – 시설면적 150 m2 당 1대
  •  수련시설 – 시설면적 350 m2 당 1대

91. 일조 등의 확보를 위한 건축물의 높이 제한 기준 중 ㉠과 ㉡에 해당하는 내용이 옳은 것은?
전용주거지역이나 일반주거지역에서 건축물을 건축하는 경우에는 건축물의 각 부분을 정북(正北) 방향으로의 인접 대지경계선으로부터 다음 각 호의 범위에서 건축조례로 정하는 거리 이상을 띄어 건축하여야 한다.
1. 높이 9미터 이하인 부분: 인접 대지경계선 으로부터 ( ㉠ ) 이상
2. 높이 9미터를 초과하는 부분: 인접 대지 경계선으로부터 해당 건축물 각 부분 높이의 ( ㉡ ) 이상
  •  ㉠ 1m
  •  ㉠ 1.5m
  •  ㉡ 3분의 1
  •  ㉡ 3분의 2

92. 다음 설명에 알맞은 용도지구의 세분은?    
산지·구릉지 등 자연경관을 보호하거나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구
  •  자연경관지구
  •  자연방재지구
  •  특화경관지구
  •  생태계보호지구

93. 다음과 같은 경우 연면적 1000m2인 건축물의 대지에 확보하여야 하는 전기설비 설치공간의 면적기준은?    
㉠ 수격전압 : 저압
㉡ 전력수전 용량 : 200kW
  •  가로 2.5m, 세로 2.8m
  •  가로 2.5m, 세로 4.6m
  •  가로 2.8m, 세로 2.8m
  •  가로 2.8m, 세로 4.6m

94. 주거기능을 위주로 이를 지원하는 일부 상업 기능 및 업무기능을 보완하기 위하여 지정하는 주거지역의 세분은?
  •  준주거지역
  •  제1종 전용주거지역
  •  제1종 일반주거지역
  •  제2종 일반주거지역

95. 피난용승강기의 설치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예비전원으로 작동하는 조명설비를 설치할 것
  •  승강장의 바닥면적은 승강기 1대당 5m2 이상으로 할 것
  •  각 층으로부터 피난층까지 이르는 승강로를 단일구조로 연결하여 설치할 것
  •  승강장의 출입구 부근의 잘 보이는 곳에 해당 승강기가 피난용승강기임을 알리는 표지를 설치할 것

96. 건축물과 해당 건축물의 용도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  주유소 - 자동차관련시설
  •  야외음악당 - 관광휴게시설
  •  치과의원 - 제1종 근린생활시설
  •  일반음식점 - 제2종 근린생활시설

97. 특별건축구역의 지정과 관련한 아래의 내용에서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시·도지사는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라 도시나 지역의 일부가 특별건축구역으로 특례 적용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특별건축구역을 지정할 수 있다.
1.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하는 경우
가. 국가가 국제행사 등을 개최하는 도시 또는 지역의 사업구역
나. 관계법령에 따른 국가정책사업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구역
  •  「도로법」에 따른 접도구역
  •  「도시개발법」에 따른 도시개발구역
  •  「택지개발촉진법」에 따른 택지개발사업구역
  •  「혁신도시 조성 및 발전에 관한 특별볍」에 따른 혁신도시의 사업구역

98. 다음 중 제1종 전용주거지역안에서 건축할 수 있는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단, 도시∙군계획조례가 정하는 바에 의하여 건축할 수 있는 건축물 포함)
  •  노유자시설
  •  공동주택 중 아파트
  •  교육연구시설 중 고등학교
  •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종교집회장

99. 다음은 지하층과 피난층 사이의 개방공간 설치와 관련된 기준 내용이다. ( ) 안에 알맞은 것은?    
바닥면적의 합계가 (   ) 이상인 공연장·집회장·관람장 또는 전시장을 지하층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 실에 있는 자가 지하층 각 층에서 건축물 밖으로 피난하여 옥외 계단 또는 경사로 등을 이용하여 피난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천장이 개방된 외부 공간을 설치하여야 한다.
  •  5백 제곱미터
  •  1천 제곱미터
  •  2천 제곱미터
  •  3천 제곱미터

100. 건축물의 거실(피난층의 거실 제외)에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배연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 용도에 속하지 않는 것은? (단, 6층 이상인 건축물의 경우)
  •  종교시설
  •  판매시설
  •  방송통신시설 중 방송국
  •  교육연구시설 중 연구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채점하기
hide
reset
타이머

모든 문제들의 저작권은 원저작권자에게 있습니다. 본 사이트는 웹상에 공개되어 있는 문제만 모아서 보여드립니다.
저작권 안내   데이터 보호 안내   제휴 문의

copyright 2025 뉴비티::새로운 CBT 시스템 - newb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