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1급 랜덤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1. 다음의 이론과 그 기본 가정의 연결이 옳은 것은?
  •  피아제(J.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 정신결정론
  •  프로이드(S. Freud)의 정신분석이론 - 상호결정론
  •  스키너(B. F. Skinner)의 행동주의이론 - 환경결정론
  •  반두라(A.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 정신결정론
  •  매슬로우(A. Maslow)의 인본주의이론 - 환경결정론

2. 인간발달 및 그 유사개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성장(growth)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나타나는 양적 변화이다.
  •  성숙(maturation)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사회적 발달이다.
  •  학습(learning)은 경험이나 훈련의 결과로 나타나는 행동변화이다.
  •  인간발달은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 결과이다.
  •  인간발달은 상승적 변화와 하강적 변화를 모두 포함한다.

3. 로저스(C. Rogers)의 인본주의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인간의 주관적 경험을 강조한다.
ㄴ. 인간은 자아실현경향을 가지고 있다.
ㄷ. 인간의 욕구발달단계를 제시했다. 
ㄹ.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은 자신의 경험에 개방적이다.
  •  ㄱ, ㄹ
  •  ㄴ, ㄷ
  •  ㄱ, ㄴ, ㄹ
  •  ㄴ, ㄷ, ㄹ
  •  ㄱ, ㄴ, ㄷ, ㄹ

4. 중년기(성인중기, 40~64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에릭슨(E. Erikson)의 생산성 대 침체성(generativity vs stagnation)의 단계에 해당된다.
  •  아들러(A. Adler)는 외부에 쏟았던 에너지를 자기 내부로 돌리며 개성화과정을 경험한다고 본다.
  •  결정성 지능은 계속 증가하지만 유동성 지능은 감소한다고 본다.
  •  성인병 같은 다양한 신체적 질환이 많이 나타나고 갱년기를 경험한다.
  •  남성은 테스토스테론이, 여성은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감소되는 호르몬의 변화과정을 겪는다.

5. 태아기의 유전성 질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유전성 질환은 유전자 이상으로 발생하는 신체적ㆍ정신적 이상을 모두 가리키는 것이다.
  •  유전자 이상으로 인한 장애에 묘성(cat-cry) 증후군이 포함된다.
  •  유전성 질환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  유전성 질환을 가진 태아는 임신초기에 유산된다.
  •  유전질환 가능성을 알기 위하여 임신 15∼17주 경 양수를 채취하여 진단할 수 있으나 태아에 손상을 줄 우려가 있다.

6. 인간발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발달의 속도에는 개인차가 있다.
  •  발달은 하부에서 상부로, 말초부위에서 중심부위로 진행된다.
  •  발달은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  발달에는 결정적 시기가 있다.
  •  발달은 양적 변화와 질적 변화를 포함한다.

7. 영아기(0-2세)의 발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애착관계를 형성한다.
  •  성 정체성을 확립한다.
  •  울음, 옹알이 등의 언어적 표현을 한다.
  •  모로반사, 바빈스키반사 등의 반사행동이 나타난다.
  •  기쁨, 분노, 슬픔 등의 기초적인 정서를 느낄 수 있다.

8. 학자와 주요개념의 연결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로저스(C. Rogers) - 자기실현 경향성
ㄴ. 벡(A. Beck) - 비합리적인 신념
ㄷ. 반두라(A. Bandura) - 행동조성
ㄹ. 아들러(A. Adler) - 집단무의식
  •  ㄱ
  •  ㄱ, ㄴ
  •  ㄴ, ㄷ
  •  ㄱ, ㄴ, ㄷ
  •  ㄴ, ㄷ, ㄹ

9. 매슬로우(A. Maslow)의 자아실현자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관대하고 타인을 수용한다.
ㄴ. 개방적이고 솔직하며 자연스럽다.
ㄷ. 자율적이고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ㄹ. 사람과 주변환경을 객관적이고 명확하게 지각한다.
  •  ㄱ, ㄴ, ㄷ
  •  ㄱ, ㄷ
  •  ㄴ, ㄹ
  •  ㄹ
  •  ㄱ, ㄴ, ㄷ, ㄹ

10. 퀴블러-로스(Kübler-Ross)가 제시한 ‘죽음의 직면단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  부정
  •  자학
  •  타협
  •  우울
  •  분노

11. 청년기(20-34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신체적 기능이 최고조에 달하는 시기이다.
  •  주요 발달과업은 진로 및 직업선택, 혼인준비 등이다.
  •  발달과업에서 신체적 요소보다는 사회문화적 요소를 중요시한다.
  •  아동기 이후 인생의 과도기로서 신체적ㆍ성적 성숙이 빠르게 진행된다.
  •  에릭슨(E. Erikson)의 발달단계에서 친밀감 대 고립감에 해당하는 시기이다.

12. 노년기(성인후기, 65세 이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시각, 청각, 미각 등의 감각기능이 약화되고, 생식기능 또한 점차 약화된다.
  •  퀴블러 로스(E. Kubler-Ross)는 인간이 죽음에 적응하는 5단계 중 마지막 단계를 타협단계라고 하였다.
  •  신체변화에 대한 적응, 인생에 대한 평가, 역할 재조정, 죽음에 대한 대비 등이 주요 발달과업이다.
  •  에릭슨(E. Erikson)은 자아통합을 이루지 못하면 절망감을 느낀다고 보았다.
  •  신장기능이 저하되어 신장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증가하고, 방광이나 요도기능의 저하로 야간에 소변보는 횟수가 증가한다.

13. 중년기(40-64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펙(R. Peck)은 신체 중시로부터 신체 초월을 중년기의 중요한 발달과제로 보았다.
  •  결정성(crystallized) 지능은 감소하고 유동성(fluid) 지능은 증가한다.
  •  융(C. Jung)에 따르면, 외부세계에 쏟았던 에너지를 자신의 내부에 초점을 두며 개성화의 과정을 경험한다.
  •  여성은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감소되고 남성은 테스토스테론의 분비가 증가된다.
  •  갱년기는 여성만이 경험하는 것으로 신체적 변화와 동시에 우울, 무기력감 등 심리적 증상을 동반한다.

14. 에릭슨(E. Erickson)의 심리사회이론에서 아동기(7-12세) 발달과업을 성취하지 못할 경우 경험하는 심리사회적 위기는?
  •  불신감
  •  절망감
  •  침체감
  •  고립감
  •  열등감

15. 생애주기에 따른 주요 발달과업의 연결이 옳은 것은?
  •  영아기(0-2세): 대상 영속성, 자율적 도덕성
  •  아동기(7-12세): 근면성, 보존개념
  •  청소년기(13-19세): 자아정체감, 분류화
  •  청년기(20-35세): 친밀감, 서열화
  •  중장년기(36-64세): 자아통합, 노부모 부양

16. 아동기(7-12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생활의 중심이 가정에 한정된다.
  •  자아정체감이 완성되는 시기이다.
  •  프로이트(S. Freud)의 남근기에 해당하는 시기이다.
  •  논리적 사고를 하게 되고 물활론적 사고가 감소하는 시기이다.
  •  에릭슨(E. Erikson)의 자율성 대 수치심의 단계에 해당하는 시기이다.

17. 아동기(7-12세)의 발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프로이트(S. Freud): 성 에너지(리비도)가 무의식 속에 잠복하는 잠재기(latency stage)
ㄴ. 피아제(J. Piaget): 보존, 분류, 유목화, 서열화 등의 개념을 점차적으로 획득 
ㄷ. 콜버그(L. Kohlberg): 인습적 수준의 도덕성 발달단계로 옮겨가는 시기
ㄹ. 에릭슨(E. Erikson): “주도성 대 죄의식”의 발달이 중요한 시기
  •  ㄱ, ㄴ
  •  ㄴ, ㄹ
  •  ㄱ, ㄴ, ㄷ
  •  ㄱ, ㄷ, ㄹ
  •  ㄴ, ㄷ, ㄹ

18. 태아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1, 2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  수정이 이루어지는 순간부터 출생하기까지의 시기를 말한다.
  •  태내발달은 어머니의 영양상태, 학력, 질병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는다.
  •  임신부 연령은 임신부와 태아 모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태아는 임신부의 정서 상태로부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  약물은 태아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19. 에릭슨(E. Erikson)과 프로이드(S. Freud)의 발달단계의 연결로 옳은 것은?
  •  근면성 대 열등감 - 구강기(oral stage)
  •  친밀감 대 고립감 - 잠복기(latency stage)
  •  주도성 대 죄의식 - 생식기(genital stage)
  •  자율성 대 수치와 의심 - 항문기(anal stage)
  •  정체감 대 정체감 혼란 - 남근기(phallic stage)

20. 생태학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인간과 환경을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단일체계로 간주한다.
ㄴ. 인간본성에 대한 정신적ㆍ환경적 결정론을 이론적 바탕으로 한다.
ㄷ. 성격을 개인과 환경 사이의 상호교류의 산물로 이해한다.
ㄹ. 타인과 관계를 맺는 인간의 능력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후천적으로 습득된다고 전제한다.
  •  ㄷ
  •  ㄱ, ㄷ
  •  ㄴ, ㄹ
  •  ㄱ, ㄴ, ㄹ
  •  ㄱ, ㄴ, ㄷ, ㄹ

21. 반두라(A. Bandura)의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개인의 신념, 기대와 같은 인지적 요인을 중요시 하였다.
ㄴ. 대리적 강화(vicarious reinforcement)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ㄷ.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대리적 경험을 제시하였다.
ㄹ.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강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자기강화(self reinforcement)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  ㄱ
  •  ㄴ
  •  ㄱ, ㄴ
  •  ㄴ, ㄷ, ㄹ
  •  ㄱ, ㄴ, ㄷ, ㄹ

22. 인간발달이론의 유용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인간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을 파악할 수 있다.
  •  일생을 통해 일어나는 변화의 과정을 설명해 준다.
  •  비슷한 연령대의 사람들은 모두 동일한 특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개인의 성장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의 원인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  개인의 발달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을 이해할 수 있다.

23. 인간발달 이론이 사회복지실천에 기여한 바로 옳지 않은 것은?
  •  발달단계에 따른 클라이언트의 욕구와 문제를 파악할 수 있다.
  •  다양한 클라이언트의 발달과업을 획일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  특정 발달단계에서 나타나는 특징적 발달요인을 이해할 수 있다.
  •  전 생애에 걸쳐 일어나는 안정성과 변화의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  이전 발달단계의 결과가 다음 단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다.

24. 이상행동과 사회복지실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사회문화적 규범에서 벗어나거나 개인과 타인에게 불편과 고통을 유발하는 행동이다.
  •  유일한 진단분류체계로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편람(DSM)'이 있다.
  •  이상행동의 개념은 사회문화, 역사진행과정의 영향을 받는다.
  •  정신건강사회복지사가 전문실천가로 활동한다.
  •  이상행동은 클라이언트들이 겪는 문제의 원인이나 결과가 되기도 한다.

25. 고전적 조건형성의 학습 원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시간의 원리: 무조건자극보다 조건자극이 늦게 제공되어야 조건형성이 이루어진다.
ㄴ. 강도의 원리: 무조건자극에 대한 반응이 조건자극에 대한 반응보다 약해야 한다.
ㄷ. 일관성의 원리: 무조건자극과 조건자극은 조건이 형성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ㄹ. 계속성의 원리: 자극과 반응 과정의 반복 횟수가 많을수록 조건형성이 잘 이루어진다.
  •  ㄱ, ㄴ
  •  ㄴ, ㄹ
  •  ㄷ, ㄹ
  •  ㄱ, ㄴ, ㄷ
  •  ㄱ, ㄷ, ㄹ

사회복지 조사론


26. ‘사회복지사의 근무지역에 따른 직업만족도 차이의 연구’ 라는 논문의 제목에서 알 수 없는 것은?
  •  독립변수
  •  종속변수
  •  통제변수
  •  분석단위
  •  독립변수의 측정수준

27. 질적연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변수중심의 분석이 이루어진다.
  •  논리실증주의적 관점을 견지한다.
  •  인간행동의 규칙성과 보편성을 중시한다.
  •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을 추출한다.
  •  관찰로부터 이론을 도출하는 귀납적 방법을 활용한다.

28. 영가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연구가설에 대한 반증가설이 영가설이다.
 ㄴ. 영가설은 변수 간에 관계가 없음을 뜻한다.
 ㄷ. 대안가설을 검증하여 채택하는 가설이다.
 ㄹ. 변수간의 관계가 우연이 아님을 증명한다.
  •  ㄱ, ㄴ
  •  ㄱ, ㄹ
  •  ㄴ, ㄷ
  •  ㄱ, ㄷ, ㄹ
  •  ㄴ, ㄷ, ㄹ

29. 질적연구의 조사도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서비스평가에서 정성적 차원을 분석할 수 있다.
ㄴ. 양적도구가 아니므로 신뢰도를 따질 수 없다.
ㄷ. 연구자 자신이 도구가 된다.
ㄹ. 구조화와 조직화의 과정을 거친다.
  •  ㄱ, ㄴ, ㄷ
  •  ㄱ, ㄷ
  •  ㄴ, ㄹ
  •  ㄹ
  •  ㄱ, ㄴ, ㄷ, ㄹ

30. 영가설(null hypothesis)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변수 간의 관계가 존재한다는 가설이다.
  •  변수 간 관계없음이 검증된 가설이다.
  •  조사자가 검증하고자 하는 가설이다.
  •  영가설에 대한 반증가설이 연구가설이다.
  •  변수 간 관계가 우연임을 말하는 가설이다.

31. 단일사례설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BA설계는 개입의 긴급성이 있는 상황에 적합하다.
ㄴ. ABAC설계는 선행 효과의 통제가 가능하다.
ㄷ. ABAB설계는 AB설계에 비해 외부사건의 영향력에 대한 통제력이 크다.
ㄹ. 복수기초선디자인은 AB설계에 비해 외부사건의 영향력에 대한 통제력이 크다.
  •  ㄱ, ㄴ
  •  ㄴ, ㄹ
  •  ㄷ, ㄹ
  •  ㄱ, ㄴ, ㄷ
  •  ㄱ, ㄷ, ㄹ

32. 측정 시 나타날 수 있는 체계적 오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코딩 왜곡은 체계적 오류를 발생시킨다.
  •  익명의 응답은 체계적 오류를 최소화한다.
  •  편견 없는 단어는 체계적 오류를 최소화한다.
  •  척도구성 과정의 실수는 체계적 오류를 발생시킨다.
  •  비관여적 관찰은 체계적 오류를 최소화한다.

33. 혼합연구방법(mixed methodology)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철학적, 개념적, 이론적 틀을 기반으로 한다.
  •  설계유형은 병합, 설명, 구축, 실험이 있다.
  •  양적 설계에 질적 자료를 단순히 추가하는 것은 아니다.
  •  각각의 연구방법을 통해 얻은 결과가 서로 확증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다.
  •  질적연구방법으로 발견한 연구주제를 양적연구방법을 이용하여 탐구하기도 한다.

34. 질적연구방법과 적절한 연구 주제가 바르게 연결된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현상학 - 늙어간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를 이해할 수 있다.
ㄴ. 참여행동연구 - 이혼 가족이 경험한 가족해체 사례를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ㄷ. 근거이론 - 지속적 비교 기법을 통해 노인의 재취업경험을 이론화할 수 있다.
ㄹ. 생애사 -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삶의 중요한 사건을 이해할 수 있다.
  •  ㄱ, ㄴ
  •  ㄴ, ㄷ
  •  ㄷ, ㄹ
  •  ㄱ, ㄷ, ㄹ
  •  ㄱ, ㄴ, ㄷ, ㄹ

35. 설문지 작성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개연성 질문(contingency questions)은 사고의 흐름에 따라 배치한다.
  •  고정반응(response set)을 예방하기 위해 유사질문들은 분리하여 배치한다.
  •  민감한 주제나 주관식 질문은 설문지의 뒷부분에 배치한다.
  •  명목측정을 위한 질문은 단일차원성의 원칙을 지켜 내용을 구성한다.
  •  신뢰도 측정을 위한 질문들은 가능한 한 서로 가깝게 배치한다.

36. 다음 연구주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변수를 구성할 때 변수명(측정 방법), 해당 변수의 종류와 분석가능한 통계수치의 연결이 옳은 것은?    
학업중단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경험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또래집단의 지지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아르바이트 경험(유무) - 독립변수, 산술평균
  •  아르바이트 경험(종류) - 독립변수, 최빈값
  •  아르바이트 경험(개월 수) - 조절변수, 중간값
  •  또래집단의 지지(5점 척도) - 독립변수, 산술평균
  •  삶의 만족(5점 척도) - 매개변수, 산술평균

37. 개입의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에서‘두 개 모집단의 평균 간에 차이가 없을 것이다’라는 영가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위의 가설을 기호로 표시하면 이다.
  •  가설검증에서 반드시 필요한 가설이다.
  •  연구자가 참으로 증명되기를 기대하는 가설이다.
  •  개입의 효과가 우연(표본추출오차)에 의해서 발생하였다고 진술하는 가설이다.
  •  연구가설을 반증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설이다.

38. 제시된 두 가지 연구 유형의 분류기준이 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
  •  양적조사와 질적조사 - 데이터의 성격
  •  순수실험설계와 준(유사)실험설계 - 원인의 조작 여부
  •  기술적연구와 설명적연구 - 연구의 목적
  •  코호트(cohort)조사와 패널조사 - 동일표본의 반복측정 여부
  •  전수조사와 표본조사 - 표본추출의 여부

39. 순수실험설계에서 인과성 검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실행 여부가 독립변수로 설정될 수 있다.
  •  사전조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종속변수 측정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어야 한다.
  •  사전조사와 사후조사에서 통제집단의 종속변수 측정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야 한다.
  •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확보가 필요하다.
  •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는 독립변수의 개입 유무이다.

40. 다음에서 설명하는 설계에 해당하는 것은?
심리상담 프로그램이 시설입소노인의 정서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조사 없이 A요양원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인구사회학적 배경이 유사한 B요양원 노인들을 비교집단으로 하여 두 집단의 정서적 안정감을 측정하였다.
  •  비동일 통제집단 설계
  •  정태적 집단비교 설계
  •  다중시계열 설계
  •  통제집단 사후검사 설계
  •  플라시보 통제집단 설계

41. 표집오차(sampling erro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표본의 통계치와 모수 간의 차이를 의미한다.
  •  일반적으로 표본규모가 클수록 감소한다.
  •  표본의 선정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이다.
  •  모집단의 크기에 비례한다.
  •  모집단의 동질성에 영향을 받는다.

42. 다음 ( )에 알맞은 내용으로 옳은 것은?    
○ 독립변수 앞에서 독립변수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 ㄱ )라고 한다.
○ 독립변수의 결과인 동시에 종속변수의 원인이 되는 변수를 ( ㄴ )라고 한다.
○ 다른 변수에 의존하지만 다른 변수에 영향을 미칠 수 없는 변수를 ( ㄷ )라고 한다.
○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제3의 변수를 ( ㄹ )라고 한다.
  •  ㄱ: 외생변수, ㄴ: 더미변수, ㄷ: 종속변수, ㄹ: 조절변수
  •  ㄱ: 외생변수, ㄴ: 매개변수, ㄷ: 종속변수, ㄹ: 더미변수
  •  ㄱ: 선행변수, ㄴ: 조절변수, ㄷ: 종속변수, ㄹ: 외생변수
  •  ㄱ: 선행변수, ㄴ: 매개변수, ㄷ: 외생변수, ㄹ: 조절변수
  •  ㄱ: 선행변수, ㄴ: 매개변수, ㄷ: 종속변수, ㄹ: 외생변수

43. 사회복지사에게 과학적 조사방법론이 필요한 이유를 모두 고른 것은?
ㄱ. 실천현장에서 수행하는 업무에 조사 관련 지식이 필요하다.
ㄴ.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실천기술 개발을 위해 필요하다.
ㄷ. 지역주민의 욕구조사를 위해 필요하다.  
ㄹ. 사회복지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위해 필요하다.
  •  ㄱ, ㄴ, ㄷ
  •  ㄱ, ㄷ
  •  ㄴ, ㄹ
  •  ㄹ
  •  ㄱ, ㄴ, ㄷ, ㄹ

44. 실증주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인간행위를 예측할 수 있는 확률적 법칙을 강조한다.
  •  과학과 비과학을 철저히 구분하려 한다.
  •  관찰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강조한다.
  •  연구결과를 잠정적인 지식으로 간주한다.
  •  사회적 행동을 행위자의 입장에서 이해하려 한다.

45. 질적조사의 자료수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심층면접은 주요 자료수집 방법 중 하나이다.
  •  연구자는 자료수집과정에서 배제되는 것이 원칙이다.
  •  완전관찰자로서의 연구자는 먼저 자료제공자들과 라포형성이 요청된다.
  •  가설설정은 자료수집을 위해 필수적 요건이다.
  •  표준화된 측정도구를 갖추어야 자료수집이 가능하다.

46. 외적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옳은 것은?
  •  실험대상의 탈락
  •  외부사건(history)
  •  통계적 회귀
  •  개입의 확산 또는 모방
  •  연구 참여자의 반응성

47. 통계적 가설검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영가설을 기각하면 연구가설이 잠정적으로 채택된다.
  •  영가설은 연구가설과 대조되는 가설이다.
  •  통계치에 대한 확률(p)이 유의수준(α)보다 낮으면 영가설이 기각된다.
  •  연구가설은 표본의 통계치에 대한 가정이다.
  •  연구가설은 경험적으로 검증이 가능하여야 한다.

48. 다음 가설에서 ㄱ ~ ㄷ이 의미하는 것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  ㄱ: 조절변수 ㄴ: 독립변수 ㄷ: 종속변수
  •  ㄱ: 독립변수 ㄴ: 종속변수 ㄷ: 매개변수
  •  ㄱ: 조절변수 ㄴ: 종속변수 ㄷ: 독립변수
  •  ㄱ: 독립변수 ㄴ: 매개변수 ㄷ: 종속변수
  •  ㄱ: 매개변수 ㄴ: 종속변수 ㄷ: 독립변수

49. 단일사례연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단일사례로서 개인, 가족, 단체 등이 분석대상이다.
  •  여러 명의 조사대상들에게 개입시기를 다르게 하면 우연한 사건효과를 통제할 수 있다.
  •  기초선으로 성숙효과를 통제할 수 있다.
  •  측정을 위한 비관여적 관찰도 가능하다.
  •  비반응성 연구의 한 유형이다.

50. 요인설계(factorial design)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집단비교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이 높은 편이다.
  •  독립변수의 속성에 따라 할당행렬을 만들고 행렬 상의 각 범주에 따라 집단을 설정한다.
  •  독립변수가 많을수록 요인설계를 활용하기 쉽다.
  •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  분산분석(ANOVA)의 통계적 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사회복지 실천론


51. 생활시설에 해당하는 것은
  •  아동보호치료시설
  •  아동보호전문기관
  •  영유아보육시설
  •  지역아동센터
  •  가정위탁지원센터

52.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사례관리 개입 원칙은?
○ 변화하는 클라이언트 욕구에 반응하여 장기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 클라이언트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중단하지 않고 제공해야 한다.
  •  서비스의 체계성
  •  서비스의 접근성
  •  서비스의 개별화
  •  서비스의 연계성
  •  서비스의 지속성

53. 사례관리자의 역할에 관한 예로 옳은 것은?
  •  중개자: 독거노인의 식사지원을 위해 지역사회 내 무료급식소 연계
  •  상담가: 욕구사정을 통해 클라이언트에 대한 체계적인 개입 계획을 세움
  •  조정자: 사례회의에서 시청각장애인의 입장을 대변하여 이야기함
  •  옹호자: 지역사회 기관 담당자들이 모여 난방비 지원사업에 중복 지원되는 대상자가 없도록 사례회의를 실시함
  •  평가자: 청소년기 자녀와 갈등을 겪고 있는 부모와 자녀 사이에 개입하여 상호 만족스러운 합의점을 도출함

54. 사례관리자 역할과 그 예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  조정자(coordinator): 사례회의를 통해 독거노인지원서비스가 중복 제공되지 않도록 하였다.
  •  옹호자(advocate): 사례회의에서 장애아동의 입장을 대변하였다.
  •  협상가(negotiator): 사례회의를 통해 생활 형편이 어려운 가정의 아동에게 재정 후원자를 연결해주었다.
  •  평가자(evaluator): 사례 종결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목표 달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  기획가(planner): 욕구사정을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필요한 자원을 설계하고 체계적인 개입 계획을 세웠다.

55. 우리나라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역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은 2000년대 중반부터 공공영역에서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  건강가정지원센터는 2000년대 중반부터 운영되기 시작하였다.
  •  종합사회복지관은 1990년대 설립되기 시작하였다.
  •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자격제도는 2000년대 중반부터 실시되었다.
  •  한국사회복지사협회는 1990년대 후반에 설립되었다.

56. 경청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클라이언트와 시선을 맞추어야 한다.
  •  클라이언트의 이야기에 반응하지 않아야 한다.
  •  클라이언트의 언어적ㆍ비언어적 표현을 함께 파악해야 한다.
  •  클라이언트의 감정과 사고를 이해하고 파악하는 것이다.
  •  클라이언트에 대한 열린 마음과 수용적인 태도가 필요하다.

57. 전문적 원조관계 형성의 장애요인이 아닌 것은?
  •  전문가의 권위
  •  변화에 대한 저항
  •  클라이언트의 전문가에 대한 부정적 전이
  •  전문가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역전이
  •  클라이언트의 불신

58. 사례관리자의 역할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사례관리자는 기관 정책상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해 주기 어려울 때 다른 기관에 의뢰한다.
ㄴ. 사례관리자는 기관의 정책이 클라이언트에게 불리하다고 판단될 때 기관의 정책에 도전하는 옹호 역할을 수행한다.
ㄷ. 복합적인 욕구를 갖는 클라이언트를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조정ㆍ연계한다.
ㄹ.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이 중요하므로 사례관리자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클라이언트를 대신하여 행동해서는 안 된다.
  •  ㄱ, ㄷ
  •  ㄴ, ㄷ
  •  ㄴ, ㄹ
  •  ㄱ, ㄴ, ㄷ
  •  ㄱ, ㄴ, ㄷ, ㄹ

59. 통합적 방법으로서 문제해결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자아심리학, 듀이(J. Dewey)의 사상, 역할이론, 체계이론 등에 기반한다.
  •  펄만(H. Perlman)의 모델에서는 주로 개인의 사회적 기능에 문제의 초점을 둔다.
  •  콤튼과 갤러웨이(B. Compton &R. Galaway) 모델에서는 개인, 집단, 환경 간 상호작용 문제로 초점이 확대된다.
  •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와 협동적 작업 관계 외에 다른 체계와 협조, 교섭, 갈등의 관계도 가진다.
  •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적체계, 거시체계의 4체계 모델에서 6체계 모델로 발전한다.

60. 생태체계 관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맥락적 사고를 한다.
  •  다체계적 접근을 한다.
  •  인간과 환경 간의 균형을 강조한다.
  •  사회구조 개선을 위한 개입방법을 제시한다.
  •  문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의 틀을 제공한다.

61. 기능주의학파(functional school)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개인의 의지 강조
  •  인간의 성장가능성 중시
  •  '지금-이곳'에 초점
  •  인간과 환경의 관계 분석
  •  과거경험 중심적 접근

62. 클라이언트에 대한 간접적인 개입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자원 개발         ㄴ. 서비스 조정
ㄷ. 프로그램 개발  ㄹ. 옹호
  •  ㄱ, ㄴ, ㄷ
  •  ㄱ, ㄷ
  •  ㄴ, ㄹ
  •  ㄹ
  •  ㄱ, ㄴ, ㄷ, ㄹ

63. 클라이언트의 권리를 보호하는 ‘고지된 동의(informed consent)’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의 한계점에 대해 분명히 알린다.
  •  고지된 동의는 서비스 제공 이후에 받는다.
  •  고지된 동의의 형태에는 구두 또는 서면 등이 있다.
  •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와 관련된 위험성을 분명히 알린다.
  •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의 목적과 내용을 명확히 알린다.

64. 핀커스와 미나한(A. Pincus &A. Minahan)의 4체계 모델을 다음 사례에 적용할 때 대상과 체계의 연결로 옳은 것은?
가족센터의 교육 강좌를 수강 중인 결혼이민자 A는 최근 결석이 잦아졌다. A의 이웃에 살며 자매처럼 친하게 지내는 변호사 B에게서 A의 근황을 전해들은 가족센터 소속의 사회복지사 C는 A와 연락 후 가정방문을 하여 A와 남편 D, 시어머니 E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C는 가족센터를 이용하면 ‘바람이 난다’라고 여긴 E가 A를 통제하고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D는 A를 지지하고 싶지만 E의 눈치를 보느라 소극적으로 행동하는 것도 파악하였다. A의 도움 요청을 받은 C는 우선 E의 변화를 통해 상황을 개선해보고자 한다.
  •  결혼이민자(A): 행동체계
  •  변호사(B): 전문가체계
  •  사회복지사(C): 의뢰-응답체계
  •  남편(D): 변화매개체계
  •  시어머니(E): 표적체계

65. 펄만(H. Perlman)이 사회복지실천을 구성하는 요소로 제시한 4P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문제(problem) -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나 욕구
ㄴ. 프로그램(program) - 문제해결을 위해 시행되는 프로그램
ㄷ. 장소(place) - 문제해결을 위한 서비스가 제공되는 물리적 공간
ㄹ. 전문가(professional) - 문제해결을 위해 개입하는 전문가
  •  ㄱ, ㄴ
  •  ㄱ, ㄷ
  •  ㄴ, ㄹ
  •  ㄴ, ㄷ, ㄹ
  •  ㄱ, ㄴ, ㄷ, ㄹ

66. 사회복지실천의 과정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클라이언트와의 서비스 계약 실시	
ㄴ. 초기 생태도의 작성
ㄷ. 사회기술훈련의 제공 
ㄹ. 사후평가의 실시
  •  ㄱ → ㄴ → ㄹ → ㄷ
  •  ㄱ → ㄹ → ㄴ → ㄷ
  •  ㄴ → ㄱ → ㄷ → ㄹ
  •  ㄴ → ㄱ → ㄹ → ㄷ
  •  ㄷ → ㄴ → ㄱ → ㄹ

67. 생태체계모델 적용의 예가 아닌 것은?
  •  개인과 환경 간의 지속적이고 순환적인 교류과정을 이해한다.
  •  개인적 욕구와 환경적 욕구 사이의 조화와 균형 정도를 파악한다.
  •  생태도를 활용하여 미시, 중간, 거시 체계들 사이의 자원과 에너지의 흐름을 파악한다.
  •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체계 내의 개인적 부적응 또는 역기능으로 파악한다.
  •  문제에 대한 다중 원인 가능성, 문제 현상의 설명에 대한 불확실성을 전제한다.

68. 사례관리 등장 배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탈 시설화로 인해 많은 정신 장애인이 지역사회 내에서 생활하게 되었다.
  •  지역사회 내 서비스 간 조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  복지비용 절감에 관심이 커지면서 저비용 고효율을 지향하게 되었다.
  •  인구ㆍ사회적 변화에 따라 다양하고, 복합적이며 만성적인 욕구를 가진 클라이언트가 증가하였다.
  •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주체가 지방정부에서 중앙정부로 변화하였다.

69. 원조관계에서 사회복지사의 태도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  개선의 여지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한해서 클라이언트와 전문적 관계를 형성하였다.
  •  클라이언트의 감정에 이입되어 면담을 지속할 수 없었다.
  •  자신의 생각과 다른 클라이언트의 의견은 관계형성을 위해 즉시 수정하도록 지시하였다.
  •  법정으로부터 정보공개 명령을 받고 관련된 클라이언트 정보를 제공하였다.
  •  클라이언트 특성이나 상황이 일반적인 경우와 다르지만 획일화된 서비스를 그대로 제공하였다.

70. 사정도구 중 집단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도식화하여 구성원의 지위, 구성원 간의 관계, 하위집단 등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것은?
  •  가계도(genogram)
  •  소시오그램(sociogram)
  •  생태도(ecomap)
  •  PIE(person in environment)체계
  •  생활력표(life history grid)

71. 강점관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개인을 진단에 따른 증상을 가진 자로 규정한다.
  •  개입의 초점이 가능성에 있다.
  •  외상과 학대 경험은 클라이언트에게 도전과 기회의 원천이 될 수 있다.
  •  모든 환경 속에는 활용 가능한 자원이 있다.
  •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협동 작업이 이루어질 때 클라이언트에게 최선의 도움이 주어질 수 있다.

72. 다음은 무엇에 관한 행동지침인가?
○ 희망을 갖게 하고 용기를 준다.
○ 저항의 실체를 있는 그대로 이해한다.
○ 지금까지 견뎌온 것을 격려한다.
○ 부정적인 감정을 표출하도록 유도한다.
  •  타 기관으로의 의뢰
  •  문제해결을 위한 감정이입
  •  수혜여부 판단을 위한 문제 확인
  •  변화상태 유지를 위한 사후관리
  •  비자발적인 클라이언트의 동기화

73. 개입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 순서로 옳은 것은?
ㄱ. 문제의 우선순위를 정한다.
ㄴ. 표적문제를 찾는다.
ㄷ. 개입의 성과목표를 정한다. 
ㄹ. 클라이언트의 과업을 구체화한다.
  •  ㄱ → ㄴ → ㄹ → ㄷ
  •  ㄱ → ㄹ → ㄴ → ㄷ
  •  ㄴ → ㄱ → ㄷ → ㄹ
  •  ㄴ → ㄱ → ㄹ → ㄷ
  •  ㄴ → ㄷ → ㄱ → ㄹ

74. 개입의 기법과 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타임아웃(time-out): 남에게 말하지 못한 문제를 클라이언트가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법이다.
  •  환기(ventilation):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문제를 보증하거나 합리화하여 변화를 거부할 때 사용하는 기법이다.
  •  재보증(reassurance): 사회복지사가 신뢰를 표현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자신감을 향상시키는 기법이다.
  •  격려(encouragement): 클라이언트의 사고, 감정, 행동을 현재의 사건과 연결하여 명료화하는 기법이다.
  •  초점화(focusing): 클라이언트가 겪는 일이 자신만이 가지고 있는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게 하는 기법이다.

75. 면접 과정에서 바람직한 질문은?
  •  그 친구를 따돌리고 싶은 생각이 애초부터 마음속에서 서서히 일어나고 있었던 거죠?
  •  아들이 집 밖으로 나가지 않겠다고 약속했는데도 불구하고, 아들을 방에 가둔 이유가 뭐죠?
  •  지난 세월 동안 남편의 폭력에 어떻게 대처해 오셨죠?
  •  다른 약속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직업훈련에 빠진 것은 그냥 귀찮았기 때문인가요?
  •  의사는 뭐라고 그러던가요? 아들을 왜 때렸으며 그 때 누가 같이 있었죠?

사회복지 실천 기술론


76. 가족치료모델의 개입 목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이야기 가족치료: 문제중심 이야기에서 벗어나 새롭고 건설적인 가족 이야기 작성
  •  구조적 가족치료: 가족관계 역기능을 유발하는 가족 위계와 경계의 변화 도모
  •  경험적 가족치료: 가족이 미분화에서 벗어나 가족체계의 변화를 달성
  •  전략적 가족치료: 의사소통과 행동 문제의 순환 고리를 끊고 연쇄작용 변화
  •  해결중심 가족치료: 문제가 일어나지 않는 예외상황을 찾아서 확대

77. 집단응집력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집단성원으로서의 책임성을 강조한다.
  •  집단토의와 프로그램 활동을 활용한다.
  •  집단성원간 경쟁적 관계를 형성하도록 돕는다.
  •  집단성원의 기대와 집단의 목적을 일치시킨다.
  •  집단에 참여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보상을 제시한다.

78. 가족경계(boundary)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하위체계의 경계가 경직된 경우에는 지나친 간섭이 증가한다.
  •  하위체계의 경계가 희미한 경우에는 감정의 합일현상이 증가한다.
  •  하위체계의 경계가 경직된 경우에는 가족의 보호 기능이 강화된다.
  •  하위체계의 경계가 희미한 경우에는 가족 간 의사소통이 감소한다.
  •  하위체계의 경계가 경직된 경우에는 가족구성원이 독립적으로 행동하기 어렵다.

79. 임파워먼트모델의 실천단계 중 발견단계에서의 과업으로 옳은 것은?
  •  성공을 인정하기
  •  달성한 것을 통합하기
  •  새로운 자원 활성화하기
  •  수집된 정보를 조직화하기
  •  클라이언트와의 파트너십 형성하기

80. 사회복지실천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권한부여모델에서는 클라이언트를 파트너로 인식한다.
ㄴ. 진단주의와 기능주의의 논쟁 통합이 문제해결모델에서 이루어졌다.
ㄷ. 클라이언트중심모델에서는 과거의 경험보다 현재의 경험을 강조한다.
ㄹ. 위기개입모델에서는 사건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보다 사건자체를 중요시한다.
  •  ㄱ
  •  ㄱ, ㄴ
  •  ㄱ, ㄴ, ㄷ
  •  ㄴ, ㄷ, ㄹ
  •  ㄱ, ㄴ, ㄷ, ㄹ

81. 집단 구성단계에서 유의할 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인구학적 특성, 문제 유형간의 동질성과 이질성의 균형을 고려한다.
  •  의사결정의 역효과 예방을 위해 구성원들의 집단의사결정방법을 확인한다.
  •  응집력과 신뢰감을 발달시킬 만큼 충분한 회기로 계획한다.
  •  회합의 빈도구성은 구성원들의 욕구나 문제를 다루기에 적절해야 한다.
  •  집단크기는 목적을 달성할 만큼 작고 경험의 다양성을 제공할 만큼 크게 구성하는 것이 좋다.

82. 인지행동모델에서 비합리적인 사고에 대해 '실용성에 관한 논박기법'을 사용한 질문은?
  •  그 생각이 옳다는 것을 어떻게 아세요?
  •  지금 느끼는 감정을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으세요?
  •  그 일이 실제로 일어날 가능성이 얼마나 될까요?
  •  그 생각이 문제해결에 얼마나 도움이 될까요?
  •  그 생각의 논리적 근거는 무엇입니까?

83. 집단사회복지실천의 원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집단활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규범을 설정한다.
ㄴ. 집단이 직면하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개입한다.
ㄷ. 집단성원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지지한다.
ㄹ. 집단성원의 성장을 돕기 위하여 개인의 욕구에 대응한다.
  •  ㄱ, ㄴ, ㄷ
  •  ㄱ, ㄷ
  •  ㄴ, ㄹ
  •  ㄹ
  •  ㄱ, ㄴ, ㄷ, ㄹ

84. 인지행동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행동적 과제의 부여를 중요시한다.
ㄴ. 클라이언트의 주관적 경험과 인식을 강조한다.
ㄷ. 인지체계의 변화를 위해 구조화된 접근을 한다.
ㄹ. 불안감을 경험하는 상황에 노출시킨다.
  •  ㄱ, ㄴ, ㄷ
  •  ㄱ, ㄷ
  •  ㄴ, ㄹ
  •  ㄹ
  •  ㄱ, ㄴ, ㄷ, ㄹ

85. 사회복지실천모델에서 사용하는 기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예외질문 - 문제가 해결된 미래에 대해 상상하도록 함으로써 변화의 목표를 찾아낸다.
  •  명료화 - 저항이나 전이에 대한 이해를 반복, 심화, 확장하여 통합한다.
  •  행동조성 - 목표행동을 세분화하여 연속적, 단계적으로 강화하는 것이다.
  •  유형 역동성 고찰 - 상황을 드러내고, 그에 따른 감정을 표현함으로써 감정전환을 도모한다.
  •  체계적 탈(둔)감법 - 특정 행동에 대한 불안을 유발하는 행동을 하도록 지시하는 것이다.

86. 과제중심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단기간의 종합적인 개입모델이다.
  •  클라이언트가 동의한 과제를 중심으로 개입한다.
  •  경험적 자료보다는 발달이론을 중심으로 개입한다.
  •  계약한 구체적인 문제해결에 초점을 두고 접근한다.
  •  클라이언트의 문제는 자원 혹은 기술의 부족으로 이해한다.

87. 다음 사례에서 활용한 심리사회모델의 개입기법은?
“지금까지의 방법이 효과적이지 않다면 다른 방법을 시도해 보면 어떨까요? 제 생각에는 지금쯤 변화가 필요하니 가족상담에 참여해 보시면 어떨까 합니다.”
  •  지지하기
  •  직접적 영향주기
  •  탐색-기술-환기
  •  인간-환경에 관한 고찰
  •  유형-역동성 고찰

88. 집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개방형 집단은 폐쇄형 집단에 비해 집단 성원의 중도 가입이 어렵다.
  •  개방형 집단은 폐쇄형 집단에 비해 응집력이 강하다.
  •  개방형 집단은 폐쇄형 집단에 비해 집단 성원의 역할이 안정적이다.
  •  폐쇄형 집단은 개방형 집단에 비해 집단 발달단계를 예측하기 어렵다.
  •  폐쇄형 집단은 개방형 집단에 비해 집단 규범이 안정적이다.

89. 사회복지사가 다음의 과업을 수행하는 집단 발달단계는?
○ 집단성원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한다.
○ 집단성원이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집단의 상호작용, 갈등, 진행상황, 협조체계 등을 파악한다.
○ 개별성원의 태도, 관계, 행동, 동기, 목표 등을 평가한다.
  •  계획단계
  •  초기단계
  •  사정단계
  •  중간단계
  •  종결단계

90. 가족 실천에서 사회복지사가 해야 할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가족과 주변환경의 상호작용 양상을 파악한다. 
ㄴ. 가족이 가족 내ㆍ외부에서 경험하는 현상을 어떻게 파악하고 이해하는지 확인한다.
ㄷ. 가족과 합류(joining)함으로써 신뢰관계를 형성한다.  
ㄹ. 가족이 다뤄야할 문제의 우선순위는 사회복지사가 정한다.
  •  ㄱ, ㄴ, ㄷ
  •  ㄱ, ㄷ
  •  ㄴ, ㄹ
  •  ㄹ
  •  ㄱ, ㄴ, ㄷ, ㄹ

91. 집단목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목표는 구체적으로 수립한다.
  •  한 번 정한 목표는 혼란 방지를 위해 수정하지 않는다.
  •  집단 크기나 기간을 정할 때 목표는 고려하지 않는다.
  •  집단목표는 구성원의 목표와 관련 없다.
  •  목표는 집단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되므로 의도적인 노력은 필요 없다.

92. 사회복지실천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역량강화모델의 발견단계에서는 사정, 분석, 계획하기를 수행한다.
  •  클라이언트중심모델은 문제해결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책임을 강조한다.
  •  행동주의모델에서는 인간을 병리적인 관점에서 바라본다.
  •  위기개입모델에서 위기는 사건 자체보다 사건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현실에 기반을 두고 있다.
  •  해결중심모델은 사회구성주의 시각을 가진다.

93. 라포포트(L. Rapoport)가 제시한 위기개입목표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위기증상 제거
ㄴ. 주관적 경험 증진                       
ㄷ. 촉발사건 이해
ㄹ. 대인관계 향상
  •  ㄱ, ㄴ, ㄷ
  •  ㄱ, ㄷ
  •  ㄴ, ㄹ
  •  ㄹ
  •  ㄱ, ㄴ, ㄷ, ㄹ

94. 토스랜드와 리바스(Toseland &Rivas)가 분류한 집단 유형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 비슷한 문제를 경험한 사람들로 집단을 구성한다.
○ 유대감 형성이 쉽고 자기 개방성이 높다.
○ 상호원조하면서 대처기술을 형성하도록 돕는다.
  •  교육집단(educational group)
  •  치료집단(therapy group)
  •  과업집단(task group)
  •  지지집단(support group)
  •  사회화집단(socialization group)

95. 과제중심모델에서 문제규명단계의 과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클라이언트가 규정한 문제를 파악한다.
  •  클라이언트의 수행 과제를 개발한다.
  •  의뢰기관에서 위임한 문제를 파악한다.
  •  예비적인 초기사정을 시행한다.
  •  우선순위에 따라 개입문제를 규명한다.

96. 다음에 해당하는 단일사례설계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김모씨는 대인관계에 어려움이 있어서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실시하는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개입 전 4주간(주2회) 조사를 실시하고 4주간(주2회) 개입의 변화를 기록한 후 개입을 멈추고 다시 4주간(주2회)의 변화를 기록하였다.
  •  기초선을 두 번 설정한다.
  •  통제집단을 활용한다.
  •  개입효과성에 대한 파악이 가능하다.
  •  표본이 하나다.
  •  조사기간이 길어진다.

97. 해결중심모델의 개입목표 설정 원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클라이언트에게 중요한 것을 목표로 하기
  •  작은 것을 목표로 하기
  •  목표를 종료보다는 시작으로 간주하기
  •  있는 것 보다 없는 것에 관심두기
  •  목표수행은 힘든 일이라고 인식하기

98. 사회복지실천의 개입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소거: 부적 처벌의 원리를 이용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중단시키는 것
  •  시연: 클라이언트가 힘들어하는 행동에 대해 실생활에서 실행 전에 반복적으로 연습하는 것
  •  행동조성: 특정 행동 수준까지 끌어올리기 위해 작은 단위의 행동으로 나누어 과제를 주는 것
  •  체계적 둔감법: 두려움이 적은 상황부터 큰 상황까지 단계적으로 노출시켜 문제를 극복하도록 하는 것
  •  내적 의사소통의 명료화: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생각을 말로 표현하고, 피드백을 통해 사고의 명료화를 돕는 것

99. 가계도를 통해 확인하기 어려운 것은?
  •  가족원의 구성과 구조
  •  가족의 생애 주기
  •  세대 간 유형의 반복
  •  가족원의 역할 및 기능
  •  가족과 환경 간 경계의 속성

100. 해결중심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이론적이고 규범적이다.
  •  변화를 불가피한 것으로 인식한다.
  •  현재와 미래를 지향한다.
  •  클라이언트와의 협동작업을 중시한다.
  •  사회복지사는 변화촉진을 위한 질문자 역할을 수행한다.

지역사회 복지론


101. 사회복지관 사업 내용 중 지역사회조직화 기능에 해당하는 것은?
  •  독거노인을 위한 도시락 배달
  •  한부모 가정 아동을 위한 문화 프로그램 제공
  •  아동 자립생활 지원을 위한 후원자 개발
  •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직업기능 교육
  •  장애인 일상생활 지원을 위한 서비스 제공

102. 최근 지역사회복지 동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사회적 경제의 대두
  •  통합사례관리의 강화
  •  ‘읍면동 복지허브화’ 사업 실시
  •  5년 단위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  「협동조합기본법」 시행으로 실천주체의 다양화

103. 포플(K. Popple, 1996)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지역사회개발	
ㄴ. 지역사회보호	
ㄷ. 지역사회조직	
ㄹ. 지역사회연계
  •  ㄱ, ㄴ
  •  ㄷ, ㄹ
  •  ㄱ, ㄴ, ㄷ
  •  ㄱ, ㄴ, ㄹ
  •  ㄱ, ㄴ, ㄷ, ㄹ

104. 다음은 로스만(J. Rothman)의 지역사회조직 모델 중 어떤 모델에 관한 설명인가?
○ 변화 매개체로서 과업지향의 소집단을 활용한다. 
○ 권력구조에 있는 구성원을 협력자로 인식한다.
○ 기본 변화전략은 자신의 문제결정 및 해결에 다수의 사람이 참여하는 것이다. 
○ 변화전술로 합의를 사용한다.
  •  지역사회연계
  •  사회행동
  •  사회계획 및 정책
  •  연합
  •  지역사회개발

105. 다음에서 설명하는 지역사회복지 실천이론은?
○ 사회운동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회원들을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독려한다.
○ 조직의 발전을 위해서 구성원 모집, 자금 확충, 직원 고용에 힘쓴다.
○ 외부체계와의 종속관계를 약화시키기 위하여 회원의 수를 늘린다.
  •  상호조직이론
  •  자원동원이론
  •  생태체계이론
  •  사회연결망이론
  •  사회체계이론

106. 갈등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이익과 보상으로 사회적 관계가 유지된다.
  •  특정집단이 지닌 문화의 의미를 해석한다.
  •  지역사회는 상호의존적인 부분들로 구성되어 있다.
  •  조직구조 개발에 자원 동원 과정을 중요하게 여긴다.
  •  이해관계의 대립을 불평등한 분배로 설명한다.

107. 1935년 미국의 사회보장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빈곤의 사회구조적 원인에 관한 인식 증가
  •  실업보험은 주정부가 운영
  •  노령연금은 연방정부가 재정과 운영을 담당
  •  사회주의 이념 확산에 따른 노동자 통제 목적
  •  공공부조에 대한 연방정부의 재정 지원

108. 다음 설명과 관련된 지역사회복지 이론은?
○ 다양한 집단과 조직이 이익을 표출함으로써 정책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지역사회복지정책은 이익집단들 간의 갈등과 타협의 산물로 간주된다.
○ 지역사회복지정책 결정은 이익집단들의 상대적 영향력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  구조기능론
  •  교환이론
  •  상호작용론
  •  역할이론
  •  다원주의이론

109. 저소득층 독거노인을 위한 의료 네트워크 형성 사업을 하려고 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로 부적절한 것은?
  •  옹호자
  •  촉매자
  •  협상가
  •  조정가
  •  혁명가

110. 지역사회의 사정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비공식적 인터뷰는 자료수집과정에서 신뢰도와 일관성을 높이는 방법이다.
  •  하위체계사정은 하위체계의 정태적인 이해를 높이는데 활용된다.
  •  민속학적(ethnographic) 방법은 일반적으로 표준화된 면담도구를 사용한다.
  •  명목집단기법은 문제이해, 목표확인, 행동계획 개발 등에 활용된다.
  •  델파이기법은 명목집단기법을 대신하여 지역사회 포럼 맥락 내에서 사용된다.

111. 지역사회 조직화 과정에서 사회복지사가 지켜야 할 중요한 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지역사회는 여러 갈등을 갖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  지역사회의 외적 능력에 우선 중점을 두어야 한다.
  •  모든 일에 솔직하고 근면하여야 한다.
  •  행사에 참여하여 운영과정을 이해해야 한다.
  •  지역사회 관련법, 제도, 규칙 등을 알아야 한다.

112. 다음 사례에서 사회복지사가 활용한 기술은?
행복시(市)에 근무하는 A사회복지사는 무력화 되어 있는 클라이언트의 잠재 역량 및 자원을 인정하고 삶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북돋아주었다.
  •  자원동원 기술
  •  자원개발 기술
  •  임파워먼트 기술
  •  조직화 기술
  •  네트워크 기술

113. 연계기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클라이언트 중심의 사회적 관계망을 강화시킬 수 있다.
  •  이용자 중심의 통합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  새로운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  사회복지시설의 서비스 중복ㆍ누락을 방지할 수 있다.
  •  지역사회 공공의제를 개발하고 주민 의식화를 강화할 수 있다.

114.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의 기본원칙이 아닌 것은?
  •  과학성
  •  비연속성
  •  실천성
  •  지역성
  •  자율성

115. 지역사회복지실천 과정의 순서로 옳은 것은?
ㄱ. 지역사회 사정
ㄴ. 실행	
ㄷ. 성과평가
ㄹ. 실행계획 수립
  •  ㄱ→ㄴ→ㄷ→ㄹ
  •  ㄱ→ㄹ→ㄴ→ㄷ
  •  ㄹ→ㄱ→ㄴ→ㄷ
  •  ㄹ→ㄱ→ㄷ→ㄴ
  •  ㄹ→ㄴ→ㄷ→ㄱ

116. 다음에서 설명하는 지역사회의 욕구사정방법은?
○ 지역사회집단의 이해관계를 가장 잘 대표할 수 있는 참여자들을 선택한다.
○ 선택된 사람들은 한 곳에 모여 특정 문제에 대한 의견을 집단으로 토론한다.
○ 의사소통은 개방형 질문으로 진행한다.
  •  델파이(Delphi) 기법
  •  지역사회포럼(Community Forum)
  •  민속학적(Ethnographic) 기법
  •  명목집단(Nominal Group) 기법
  •  초점집단(Focus Group) 기법

117. 지역사회복지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교환이론 - 자원의 교환을 통한 지역사회 발전 강조
  •  자원동원이론 - 이익집단들 간의 갈등과 타협 강조
  •  다원주의이론 - 소수 엘리트에 의한 지역사회 발전 강조
  •  기능주의이론 - 지역사회 변화의 원동력을 갈등으로 간주
  •  사회자본이론 - 지역사회 하위체계의 기능과 역할 강조

118. 지역사회개발 모델 중 조력자로서의 사회복지사 역할이 아닌 것은?
  •  좋은 대인관계를 조성하는 일
  •  지역사회를 진단하는 일
  •  불만을 집약하는 일
  •  공동의 목표를 강조하는 일
  •  조직화를 격려하는 일

119. 영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자선조직협회(COS)는 사회진화론에 영향을 받았다.
  •  토인비홀은 사무엘 바네트(S. Barnett) 목사가 설립한 인보관이다.
  •  헐하우스는 제인 아담스(J. Adams)에 의해 설립되었다.
  •  시봄(Seebohm)보고서는 사회서비스의 협력과 통합을 제안하였다.
  •  그리피스(Griffiths)보고서는 지방정부의 책임을 강조하였다.

120. 지역사회복지협의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공공 간의 연계방식으로 시작해서 공공과 민간의 연계방식으로 전개되었다. 
ㄴ. 지역사회복지자원을 개발하고, 발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ㄷ. 시ㆍ도에서 전달되는 상위계획은 실무분과에서 심의권을 갖는다. 
ㄹ. 실무협의체에서는 실무분과에서 발의된 쟁점에 대해 논의한다.
  •  ㄱ, ㄴ, ㄷ
  •  ㄱ, ㄷ
  •  ㄴ, ㄹ
  •  ㄹ
  •  ㄱ, ㄴ, ㄷ, ㄹ

121. 지역사회복지를 권력의존이론의 관점에서 설명한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를 위해 다양한 장애인 단체가 의사결정에 참여하도록 한다.
ㄴ. 노인복지관은 은퇴 노인의 재능을 활용한 봉사활동을 기획한다.
ㄷ. 사회복지관은 지방정부로부터 보조금 집행에 대한 지도점검을 받았다.
  •  ㄱ
  •  ㄷ
  •  ㄱ, ㄴ
  •  ㄱ, ㄷ
  •  ㄱ, ㄴ, ㄷ

122. 지역사회복지 실천단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문제발견 및 분석단계는 계획을 행동으로 변환시키는 실행단계 이후에 진행한다.
  •  평가단계에서 총괄평가는 모든 실천과정이 종료된 이후에 실시한다.
  •  자원계획 및 동원단계는 실행단계 이후에 진행한다.
  •  목적 및 목표 설정단계는 지역주민 욕구사정 이전에 진행한다.
  •  지역사회 포럼은 실행단계에서 진행한다.

123. 지역사회복지실천 기관 중에서 간접 서비스기관이 아닌 것은?
  •  사회복지협의회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  자원봉사센터
  •  지역자활센터
  •  사회복지관협회

124.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네트워크 원리에 따른 운영
  •  민간사회복지기관에 대한 감사 및 평가
  •  수요자 중심의 지역사회보장서비스 제공기반 마련
  •  지역사회 공동체 기능 회복과 사회자본 확대 지향
  •  「사회보장급여의 이용ㆍ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로 시행

125.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역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향약은 주민 교화 등을 목적으로 한 지식인 간의 자치적인 협동조직이다.
  •  오가통 제도는 일제강점기 최초의 인보제도이다.
  •  메리 놀스(M. Knowles)에 의해 반열방이 설립되었다.
  •  태화여자관은 메리 마이어스(M. D. Myers)에 의해 설립되었다.
  •  농촌 새마을운동에서 도시 새마을운동으로 확대되었다.

사회복지 정책론


126. 급여의 형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현금급여는 선택의 자유를 보장하지만 사회적 통제가 부과된다.
ㄴ. 현물급여는 집합적 선을 추구하고 용도 외 사용을 방지하지만 관리비용이 많이 든다.
ㄷ. 서비스는 클라이언트를 위한 제반 활동을 말하며 목적 외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다.
ㄹ. 증서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만 교환가치를 가지기 때문에 개인주의자와 집합주의자 모두 선호한다.
ㅁ. 기회는 재화와 자원을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의미하며 정책에 관한 의사결정권을 갖는 것을 말한다.
  •  ㄱ, ㄹ
  •  ㄴ, ㅁ
  •  ㄱ, ㄴ, ㄷ
  •  ㄱ, ㄷ, ㅁ
  •  ㄴ, ㄷ, ㄹ

127. 영국 사회복지정책의 역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길버트법은 빈민의 비참한 생활과 착취를 개선하기 위해 원외구제를 허용했다.
ㄴ. 스핀햄랜드법은 빈민의 임금을 보충하기 위해 가족 수에 따라 보조금을 지급할 수 있게 했다.
ㄷ. 신빈민법은 열등처우의 원칙을 적용하였고 원내구제를 금지했다.
ㄹ. 왕립빈민법위원회의 소수파보고서는 구빈법의 폐지보다는 개혁을 주장했다.
ㅁ. 베버리지보고서를 근거로 하여 가족수당법, 국민부조법 등이 제정되었다.
  •  ㄱ, ㄷ
  •  ㄷ, ㅁ
  •  ㄱ, ㄴ, ㅁ
  •  ㄴ, ㄷ, ㄹ
  •  ㄴ, ㄹ, ㅁ

128. 다음에서 설명하는 이념은?
○ 자본주의에 대해서는 긍정적	
○ 사회복지정책에 대해서는 부정적
○ 시장개방, 노동의 유연성, 탈규제, 민영화 등의 정책을 선호
  •  신자유주의
  •  마르크스주의
  •  사회민주주의
  •  국가개입주의
  •  페이비언사회주의

129. 사회복지정책의 역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883년 독일의 질병(건강)보험은 최초의 사회보험이다.
  •  우리나라의 건강보험과 국민연금 중 적용범위가 농어민으로까지 먼저 확대된 것은 국민연금이다.
  •  1980년대 미국에서는 의료부조(Medicaid), 요보호아동가족부조(AFDC) 등의 공공부조 급여수준이 삭감되었다.
  •  우리나라의 최저임금제도는 1986년에 최저임금법이 제정되어 1988년에 시행되었다.
  •  영국의 베버리지보고서(Beveridge Report)에서는 아동수당, 포괄적 보건의료서비스 뿐만 아니라 완전고용도 강조하였다.

130. 보건복지부 지역자율형사회서비스투자사업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가사·간병방문지원
ㄴ. 치매환자가족 휴가지원
ㄷ. 산모·신생아건강관리지원
ㄹ. 장애인활동지원
  •  ㄱ, ㄴ, ㄷ
  •  ㄱ, ㄷ
  •  ㄴ, ㄹ
  •  ㄹ
  •  ㄱ, ㄴ, ㄷ, ㄹ

131. 소득재분배의 유형과 관계집단을 연결한 것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수직적 재분배 - 고소득층 대(對) 저소득층
ㄴ. 수평적 재분배 - 고위험집단 대(對) 저위험집단
ㄷ. 세대 간 재분배 - 현세대 대(對) 미래세대
ㄹ. 세대 내 재분배 - 노령세대 대(對) 근로세대
  •  ㄱ, ㄴ, ㄷ
  •  ㄱ, ㄷ
  •  ㄴ, ㄹ
  •  ㄹ
  •  ㄱ, ㄴ, ㄷ, ㄹ

132. 2012년 대통령선거에서 건강보험제도 개선안으로 여당은 '4대 중증질환 100% 국가보장'을, 야당은 '연간 본인부담금 100만원 상한제'를 제안하였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여당 안은 국민보건서비스(NHS) 방식을 도입한 것이다.
ㄴ. 건강보험료를 올리지 않는다면, 두 안 모두 조세 부담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높다.
ㄷ. 야당 안은 100만원 상한제로 제한을 두었다는 점에서 선별주의 원칙이 적용되었다.
ㄹ. 두 안 모두 서비스 이용자의 이용요금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  ㄱ, ㄴ, ㄷ
  •  ㄱ, ㄷ
  •  ㄴ, ㄹ
  •  ㄹ
  •  ㄱ, ㄴ, ㄷ, ㄹ

133. 진료비 지불방식 중 행위별수가제와 포괄수가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행위별수가제는 의료기관의 과잉진료를 유도할 수 있다.
ㄴ. 행위별수가제에서는 의료진의 진료행위에 대한 자율성이 확보된다.
ㄷ. 포괄수가제는 주로 발생빈도가 높은 질병군에 적용한다.
ㄹ. 포괄수가제를 적용함으로써 환자의 본인부담금이 감소할 수 있다.
  •  ㄱ
  •  ㄱ, ㄷ
  •  ㄱ, ㄴ, ㄷ
  •  ㄴ, ㄷ, ㄹ
  •  ㄱ, ㄴ, ㄷ, ㄹ

134. 우리나라 의료보장제도(국민건강보험, 의료급여)에서 시행하고 있는 것 중 의료비 절감효과와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  포괄수가제
  •  의료급여 사례관리제도
  •  건강보험급여 심사평가제도
  •  행위별 수가제
  •  본인일부부담금

135. 사회복지 역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길버트법은 작업장 노동의 비인도적인 문제에 대응하여 원외구제를 실시하였다. 
ㄴ. 신빈민법은 특권적 지주계급을 위한 법으로 구빈업무를 전국적으로 통일하였다.
ㄷ. 미국의 사회보장법(1935)은 연방정부의 책임을 축소하고 지방정부의 책임을 확대하였다.
ㄹ. 비스마르크는 독일제국의 사회통합을 위해 사회보험을 도입하였다.
  •  ㄱ, ㄴ
  •  ㄱ, ㄷ
  •  ㄱ, ㄹ
  •  ㄴ, ㄷ
  •  ㄷ, ㄹ

136. 우리나라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교육급여는 교육부가 담당하고 자활급여는 고용노동부가 담당한다.
ㄴ. 주거급여 지원대상은 중위소득 40%이하이고 부양의무자 기준을 충족하는 가구이다.
ㄷ. 2014년 12월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개정 이후의 부양의무자 기준이 법 개정 이전보다 강화되었다.  
ㄹ. 생계급여와 의료급여의 소관부처는 보건복지부이다.
  •  ㄱ, ㄴ, ㄷ
  •  ㄱ, ㄷ
  •  ㄴ, ㄹ
  •  ㄹ
  •  ㄱ, ㄴ, ㄷ, ㄹ

137. 사회투자국가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경제활동 참여기회 확대
  •  경제성장과 사회통합 동시 추구
  •  인적자본 및 사회적 자본에 대한 투자 강조
  •  불평등 해소보다 사회적 배제 감소에 더 큰 중요성 부여
  •  전통적 복지패러다임으로 회귀하는 성향이 강함

138. 소득재분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소득재분배는 세대 내 재분배와 세대 간 재분배로 구분할 수 있다.
  •  소득재분배는 시장의 기능에 따라 1차적으로 소득이 분배되는 것이다.
  •  정부가 조세정책과 사회복지정책 등을 통해 실현한다.
  •  개인의 자발적 기부와 같이 민간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  시간적 소득재분배는 한 개인이 안정된 근로생활 시기에서 불안정한 소득시기로 소득을 이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139. 에스핑 엔더슨(Esping-Anderson)의 복지국가 유형 중 '자유주의적 복지국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민간복지를 보완하는 국가복지
  •  사회보험 프로그램의 강조
  •  다차원적인 사회계층체제 발생
  •  시장의 효율성 강조
  •  상대적으로 낮은 탈상품화 효과

140. 복지혼합경제(mixed economy of welfare)의 예가 아닌 것은?
  •  시립사회복지관의 민간 위탁
  •  사회복지기관에서 사회적 기업 운영
  •  바우처 방식을 이용한 보육서비스 제공
  •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통합급여에서 개별급여로의 전환
  •  노인장기요양보험을 활용한 노인요양병원 운영

141. 최근 10년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수급자격 중 부양의무자 기준은 완화되었다.
ㄴ. 기준중위소득은 2015년 이후 지속적으로 인상되었다.
ㄷ. 교육급여가 신설되었다.
ㄹ. 근로능력평가 방식이 변화되었다.
  •  ㄱ, ㄴ
  •  ㄱ, ㄷ
  •  ㄱ, ㄹ
  •  ㄴ, ㄹ
  •  ㄱ, ㄴ, ㄹ

142. 영국 사회복지의 역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스핀햄랜드법은 가족수당제도의 시초로 불린다.
ㄴ. 공장법은 아동의 노동 여건을 개선하였다.
ㄷ. 1834년 신구빈법은 전국적으로 구빈 행정 구조를 통일하였다.
ㄹ. 1911년 국민보험법은 건강보험과 실업보험으로 구성되었다.
  •  ㄱ, ㄴ, ㄷ
  •  ㄱ, ㄷ
  •  ㄴ, ㄹ
  •  ㄹ
  •  ㄱ, ㄴ, ㄷ, ㄹ

143. 사회복지정책분석에서 산물(product) 분석의 한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정해진 틀에 따라 사회복지정책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적용된 사회적 가치를 평가하기 쉽다.
  •  사회복지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기가 용이하다.
  •  현행 사회복지정책에서 배제되고 차별받는 사람들의 욕구를 파악하기 쉽다.
  •  산물분석 결과는 기존의 사회주류적 입장을 대변할 가능성이 높다.
  •  사회복지정책의 구체적인 대안을 담아내기 쉽다.

144. 빈곤의 개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상대적 빈곤은 한 사회의 평균적인 생활수준을 기준으로 정한다.
  •  절대적 빈곤은 최소한의 생필품을 구입하는데 필요한 비용으로 정한다.
  •  반물량 방식은 모든 항목의 생계비를 계산하지 않고 엥겔계수를 활용하여 생계비를 추정한다.
  •  중위소득의 50%를 빈곤선으로 책정할 경우, 사회구성원 99명을 소득액 순으로 나열하여 이 중 50번째 사람의 소득 50%를 빈곤선으로 한다.
  •  상대적 박탈은 인간의 기본적 욕구의 기준을 생물학적 요인에만 초점을 둔다.

145. 정책평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정책평가는 정책효과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
  •  평가지표 선택에서 정책 목표보다 측정 용이성을 우선한다.
  •  정책평가는 정책 활동의 책임성을 높인다.
  •  산출과 영향에 대한 평가방법으로 양적ㆍ질적 평가를 병행할 수 있다.
  •  평가결과의 활용도를 높이는 기제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46. 우리나라 국민건강보험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진료비 지불방식은 행위별수가제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  질병으로 인해 상실된 근로소득을 보전해주는 현금급여가 있다.
  •  조합방식이 아닌 통합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  직장가입자의 보험료 산정대상인 보수월액에는 상ㆍ하한선이 있다.
  •  국내에서 업무에 종사하는 직장가입자 보험료율은 1천분의 80 범위 안에서 정한다.

147. 에스핑-엔더슨(G. Esping-Andersen)의 복지국가 유형 중 조합주의 복지국가 모형의 특징이 아닌 것은?
  •  사회보험 가입자들의 직장 이동성을 활성화할 수 있다.
  •  산업재해와 같은 동일한 위험에 대해서 다수의 운영주체가 존재한다.
  •  제도의 적용대상은 임금근로계층을 원칙으로 한다.
  •  사회복지제도들은 위험별로 구분하여 각각 독립적인 제도로 운영된다.
  •  조합단위의 제도로 인하여 위험분산의 효과가 상대적으로 낮게 발생한다.

148. 사회적 배제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문제의 초점을 소득의 결핍으로 제한한다.
  •  빈곤에 대해 다차원적으로 접근하는 개념이다.
  •  빈곤의 역동성과 동태적 과정을 강조한다.
  •  개인과 집단의 박탈과 불평등을 유발하는 다양한 영역을 포괄한다.
  •  사회적 관계망으로부터의 단절 문제를 제기한다.

149. 산업화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산업화 이론의 대표적인 학자로는 윌렌스키(H. Wilensky)가 있다.
  •  산업화 정도와 복지국가의 다양한 제도 형태와의 연계성을 잘 설명해준다.
  •  복지국가는 산업화로 발생된 사회적 욕구에 대한 대응이었다.
  •  복지국가 발전은 산업화로 인한 경제성장과 함께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다.
  •  복지국가는 산업화의 발전으로 재정적 능력이 향상되어 가능해졌다.

150.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  대상 가구당 행정관리비용이 사회보험보다 저렴하다.
  •  재원은 기금에 의존한다.
  •  재원부담을 하는 자와 수급자가 동일하다.
  •  대상 선정에서 부양의무자 존재 여부는 고려되지 않는다.
  •  선정기준으로 기준 중위소득을 활용한다.

사회복지 행정론


151. 다음에서 설명하는 프로그램 평가의 기준은?
○ 서비스를 받은 클라이언트 수
○ 목표달성을 위해 투입된 시간 및 자원의 양
○ 프로그램 담당자의 제반활동
  •  노력
  •  영향
  •  효과성
  •  효율성
  •  서비스의 질

152.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에서 공통적으로 중시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  합리성
  •  지속성
  •  참여성
  •  목적성
  •  현재지향성

153. 사회복지조직의 의사결정모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점증모형은 여러 대안을 평가하여 합리적 평가 순위를 정하는 모형이다.
  •  연합모형은 경제적ㆍ시장 중심적 시각에서 이루어지는 모형이다.
  •  만족모형은 주로 해결해야 할 문제가 분명하고 단순한 의사결정에 적용된다.
  •  쓰레기통모형은 조직의 목표가 모호하고, 조직의 기술이 막연한 경우에 적용되는 모형이다.
  •  공공선택모형은 시민들을 공공재의 생산자로 규정하고 정부를 소비자로 규정한다.

154. 패러슈라만 등(A. Parasuraman, V. A. Zeithaml &L. L. Berry)의 SERVQUAL 구성차원에 해당하는 질문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약속한 대로 서비스를 제공했는가?	
ㄴ. 안전하게 서비스를 제공했는가?
ㄷ. 자신감을 가지고 정확하게 서비스를 제공했는가?
ㄹ. 위생적이고 정돈된 시설에서 서비스를 제공했는가?
  •  ㄱ, ㄹ
  •  ㄴ, ㄷ
  •  ㄴ, ㄹ
  •  ㄱ, ㄴ, ㄷ
  •  ㄱ, ㄷ, ㄹ

155. 빈 칸에 알맞은 것은?
프로그램 체계에서  ( ㄱ )과(와) ( ㄴ )은(는) 흔히 혼잡스럽게 사용된다. 그럼에도 이를 구분하는 것은 프로그램의 이론적 발전뿐만 아니라, 내ㆍ외부적 책임성을 제시하는 데도 중요하다. ( ㄱ )은(는) 프로그램이 의도하는 변화 목적의 성취 상태를 나타내야 하고, ( ㄴ )은(는) ( ㄱ )을(를) 위한 프로그램 활동의 직접적 결과 상태를 제시하는 것이어야 한다.
  •  ㄱ: 지표, ㄴ: 산출
  •  ㄱ: 산출, ㄴ: 성과
  •  ㄱ: 성과, ㄴ: 산출
  •  ㄱ: 투입, ㄴ: 지표
  •  ㄱ: 산출, ㄴ: 투입

156. 직무수행평가 순서로 옳은 것은?
ㄱ. 실제 직무수행을 직무수행 평가기준과 비교
ㄴ. 직원과 평가결과 회의 진행
ㄷ.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직원의 실제 직무수행을 측정
ㄹ. 직무수행 기준 확립
ㅁ. 직무수행 기대치를 직원에게 전달
  •  ㄷ - ㄹ - ㅁ - ㄱ - ㄴ
  •  ㄹ - ㄷ - ㄴ - ㅁ - ㄱ
  •  ㄹ - ㅁ - ㄷ - ㄱ - ㄴ
  •  ㅁ - ㄱ - ㄷ - ㄴ - ㄹ
  •  ㅁ - ㄹ - ㄴ - ㄷ - ㄱ

157. 의사결정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브레인스토밍은 아이디어의 양보다 질이 중요하며 능동적 참여가 중요하다.
  •  변증법적 토의는 사안의 찬성과 반대를 이해함을 기본으로 한다.
  •  델파이 기법은 전문가로부터 정보를 수집하여 합의를 얻으려 할 때 적용할 수 있다.
  •  대안선택 흐름도표는‘예’와‘아니오’로 답할 수 있는 연속적 질문을 통해 예상되는 결과를 결정한다.
  •  명목집단기법은 감정이나 분위기상의 왜곡현상을 피할 수 있다.

158. 과학적 관리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구성원들의 비인간화로 소외현상이 발생한다.
  •  인간의 정서적인 측면과 사회적 관계를 중시한다.
  •  주로 경제적 보상을 강조한다.
  •  폐쇄적 환경을 강조하여 환경적 요인이 조직의 목적과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등한시한다.
  •  비공식집단, 커뮤니케이션 등의 중요성을 간과하였다.

159. 프로그램 논리모델에서 산출(outputs)을 나타내는 기준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이용자의 서비스 참여 횟수
  •  서비스 종료 여부
  •  서비스에 소요된 비용
  •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 간 접촉 건수
  •  이용자가 서비스를 활용한 총시간

160. 최근 사회복지조직의 환경변화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사회복지 공급주체의 다양화
ㄴ. 행정관리능력 향상으로 거주시설 대규모화
ㄷ. 성과에 대한 강조와 마케팅 활성화
ㄹ. 기업의 경영관리 기법 도입
  •  ㄱ, ㄴ
  •  ㄱ, ㄷ
  •  ㄴ, ㄹ
  •  ㄱ, ㄷ, ㄹ
  •  ㄴ, ㄷ, ㄹ

161. 책임성이 있는 관리자의 자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지역사회의 다양한 이해집단에 대하여 정확하게 파악한다.
  •  클라이언트 집단의 관점이 배제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개별 서비스제공자의 활동을 통제하지 않는다.
  •  조직 내 서비스 제공자의 업무수행을 파악한다.
  •  동원된 자원의 사용에 관한 정보를 공개한다.

162. 예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영기준 예산(Zero Based Budgeting)은 전년도 예산 내역을 반영하여 수립한다.
  •  계획 예산(Planning Programming Budgeting System)은 국가의 단기적 계획 수립을 위한 장기적 예산편성 방식이다.
  •  영기준 예산(Zero Based Budgeting)은 비용-편익분석, 비용-효과분석을 거치지 않고 수립한다.
  •  성과주의 예산(Performance Budgeting)은 전년도 사업의 성과를 고려하지 않고 수립한다.
  •  품목별 예산(Line Item Budgeting)은 수입과 지출을 항목별로 명시하여 수립한다.

163. 총체적 품질관리(TQM)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고객중심 관리를 강조한다.
  •  지속적인 서비스 품질향상을 강조한다.
  •  서비스 품질은 마지막 단계에 고려한다.
  •  의사결정은 자료분석에 기반한다.
  •  품질향상은 모든 조직구성원들의 헌신을 필요로 한다.

164. 총체적 품질관리(Total Quality Management)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욕구조사 실시
  •  기획 단계부터 서비스 품질을 고려
  •  서비스의 변이(variation) 가능성을 예방하는 노력
  •  최고 관리자를 품질의 최종 결정자로 간주
  •  투입과 과정에 대한 지속적 개선 노력

165. 학교폭력예방 교육프로그램을 논리모델(Logic Model)로 구성하였을 때 연결이 옳은 것은?
ㄱ. 자원봉사자 OO명 및 외부강사 O명 
ㄴ. 학교 내 안전감 증가 
ㄷ. 학생참여율
  •  ㄱ: 투입, ㄴ: 영향, ㄷ: 산출
  •  ㄱ: 투입, ㄴ: 활동, ㄷ: 산출
  •  ㄱ: 활동, ㄴ: 성과, ㄷ: 영향
  •  ㄱ: 산출, ㄴ: 성과, ㄷ: 영향
  •  ㄱ: 성과, ㄴ: 영향, ㄷ: 투입

166. 다음은 스키드모어(Skidmore)의 기획과정을 열거한 것이다. ( )에 들어갈 내용을 순서대로 연결한 것은?
○ 목표설정 - 자원 고려 - (     ) - (     ) - (     ) - (     ) - 개방성 유지
  •  대안모색 - 구체적 프로그램 수립 - 결과 예측 - 계획 결정
  •  대안모색 - 결과 예측 - 계획 결정 - 구체적 프로그램 수립
  •  계획 결정 - 구체적 프로그램 수립 - 결과 예측 - 대안모색
  •  결과 예측 - 대안모색 - 계획 결정 - 구체적 프로그램 수립
  •  결과 예측 - 구체적 프로그램 수립 - 대안모색 - 계획 결정

167. 사회복지서비스 기관에서의 슈퍼비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카두신(A. Kadushin)은 슈퍼비전을 행정적, 지지적, 교육적 기능으로 설명한다.
  •  긍정적 슈퍼비전은 사회복지사의 소진 예방에 도움을 준다.
  •  슈퍼바이지(supervisee) 간 동료 슈퍼비전은 인정되지 않는다.
  •  사회복지사의 관리 및 통제의 수단으로도 활용된다.
  •  슈퍼비전의 질은 슈퍼바이저의 역량에 좌우된다.

168. 다음의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테일러(F. W. Taylor)가 개발한 과학적 관리론은 ( ㄱ )에게만 조직의 목표를 설정할 수 있는 ( ㄴ )을 부여하기 때문에 ( ㄷ )의 의사결정( ㄹ )을(를) 지향하는 사회복지조직에 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  ㄱ: 직원, ㄴ: 책임, ㄷ: 직원, ㄹ: 과업
  •  ㄱ: 관리자, ㄴ: 책임, ㄷ: 직원, ㄹ: 참여
  •  ㄱ: 관리자, ㄴ: 과업, ㄷ: 관리자, ㄹ: 참여
  •  ㄱ: 직원, ㄴ: 과업, ㄷ: 직원, ㄹ: 과업
  •  ㄱ: 직원, ㄴ: 과업, ㄷ: 관리자, ㄹ: 참여

169. 우리나라의 공공 사회복지전달체계 현황으로 옳은 것은?
  •  공공부조의 전달체계에서 시ㆍ군ㆍ구/읍ㆍ면ㆍ동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사회보험제도 운영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성이 매우 크다.
  •  서비스 신청과 상담을 위해 시ㆍ도청을 방문해야 한다.
  •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읍ㆍ면ㆍ동에서 국민연금의 징수ㆍ지급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  사회복지청이 복지서비스의 전문적 전달을 지원하고 있다.

170. 사회복지서비스들 사이의 파편화(fragmentation)와 단절을 줄이는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사회복지 제공자 네트워크 구축
  •  사례관리 강화
  •  서비스 분화
  •  욕구를 종합적으로 파악
  •  서비스 연계 기제 마련

171. 사회복지 슈퍼비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행정적 기능, 교육적 기능, 지지적 기능이 있다.
  •  소진 발생 및 예방에 영향을 미친다.
  •  동료집단 간에는 슈퍼비전이 수행되지 않는다.
  •  슈퍼바이저는 직속상관이나 중간관리자가 주로 담당한다.
  •  직무를 수행하면서 훈련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72. 섬김 리더십(servant leadership)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인간 존중, 정의, 정직성, 공동체적 윤리성 강조
ㄴ. 가치의 협상과 계약
ㄷ. 청지기(stewardship) 책무 활동
ㄹ. 지능, 사회적 지위, 교육 정도, 외모 강조
  •  ㄱ, ㄷ
  •  ㄴ, ㄹ
  •  ㄷ, ㄹ
  •  ㄱ, ㄴ, ㄷ
  •  ㄱ, ㄴ, ㄷ, ㄹ

173. 기획(plann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사회복지조직의 불확실성을 감소시킨다.
  •  사업에 대한 연속적인 의사결정으로서 정적인 개념이다.
  •  서비스의 효과적 달성을 위해 필요하다.
  •  구성원의 사기진작을 위해 필요하다.
  •  목표 달성을 위한 미래 활동을 준비하는 과정이다.

174. 정보관리시스템 구축의 영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위험 감소
  •  사회복지전문가가 복잡한 의사결정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지원
  •  저장된 수천 개의 사례를 기반으로 한 이론의 발전
  •  서비스이용자의 실적을 월별, 분기별, 사업현황별로 정기적 점검이 가능
  •  필요한 정보를 통합ㆍ제공하여 업무 향상

175. 사회복지조직의 인적자원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동기부여를 위한 보상관리는 해당되지 않는다.
  •  직원채용, 직무수행 평가, 직원개발을 포함한다.
  •  목표관리법(MBO)으로 직원을 평가할 수 있다.
  •  직무수행 과정에서 경력을 개발해 나갈 수 있도록 한다.
  •  직무만족도 개선과 소진관리가 포함된다.

사회복지 법제론


176. 사회복지사업법상 사회복지시설(이하 '시설'이라 한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사회복지관은 직업 및 취업 알선이 필요한 지역주민에게 사회복지서비스를 우선 제공하여야 한다.
  •  지방자치단체는 시설의 책임보험 가입에 드는 비용의 전부를 보조할 수 없다.
  •  국가는 시설을 운영할 수 있다.
  •  시설 종사자의 근무환경 개선에 관한 사항은 운영위원회에서 심의한다.
  •  회계부정이 발견되었을 때 보건복지부장관은 시설의 폐쇄를 명할 수 있다.

177. 사회복지사업법령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  사회복지법인의 설립은 보건복지부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사회복지사업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시ㆍ군ㆍ구 단위로 복지위원을 위촉하여야 한다.
  •  사회복지법인은 이사 정수의 5분의 1 이내에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에서 추천한 사람을 선임하여야 한다.
  •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설치ㆍ운영하는 사회복지시설은 신고의 의무가 없다.
  •  사회복지시설의 장은 비상근으로 한다.

178. 국민건강보험법령상 건강보험 가입자가 자격을 상실하는 날로서 옳은 것은?
  •  국적을 잃은 날
  •  사망한 날
  •  국내에 거주하지 아니하게 된 날의 다음 날
  •  의료급여법에 따라 의료급여를 받게 된 날의 다음 날
  •  직장가입자의 피부양자가 된 날의 다음 날

179. 사회복지와 관련한 헌법의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헌법 전문에는 사회복지와 관련된 내용이 없다.
ㄴ. 환경권의 내용과 행사에 관하여는 조례로 정한다.
ㄷ. 모든 국민은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ㄹ. 여자의 근로는 특별한 보호를 받으며, 고용ㆍ임금 및 근로조건에 있어서 부당한 차별을 받지 아니한다.
  •  ㄱ, ㄴ
  •  ㄴ, ㄷ
  •  ㄷ, ㄹ
  •  ㄱ, ㄷ, ㄹ
  •  ㄴ, ㄷ, ㄹ

180.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상 가정폭력피해자 보호시설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단기보호시설
  •  장기보호시설
  •  외국인보호시설
  •  장애인보호시설
  •  노인보호시설

181. 국민기초생활 보장법령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수급권자를 부양할 책임이 있는 부양의무자에는 수급권자의 손자는 포함되지 않는다.
  •  수급권자의 친족도 수급권자에 대한 급여를 신청할 수 있다.
  •  보장기관은 급여를 개인 단위로 실시하되, 특히 필요한 경우는 개별가구 단위로 실시할 수 있다.
  •  부양의무자의 부양은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른 급여에 우선하여 행하여진다.
  •  수급자가 검진 지시에 따르지 아니한 것을 이유로 보장기관이 수급자에 대한 급여 결정을 취소하려면 청문을 하여야 한다.

182. 사회보장기본법상 ‘사회보장에 관한 국민의 권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최저보장수준과 최저임금 등을 고려하여 사회보장급여의 수준을 결정하여야 한다.
  •  관계 법령에서 따로 정하는 경우에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사회보장급여의 신청을 대신할 수 있다.
  •  사회보장수급권은 관계 법령에서 따로 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한될 수 있다.
  •  사회보장수급권은 압류할 수 있다.
  •  모든 국민은 사회보장 관계 법령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사회보장수급권을 가진다.

183. 우리나라 사회복지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헌법상의 생존권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법이 사회복지법이다.
  •  사회복지법은 단일 법전 형식이 아니라 개별법 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  최저임금법은 실질적 의미의 사회복지법에 포함된다.
  •  사회복지법은 사회법으로서 과실책임의 원칙에 기초하고 있다.
  •  사회복지법에는 공법과 사법의 요소들이 공존하고 있다.

184. 사회복지사업법령상 보건복지부장관이 시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최저기준을 마련하지 않아도 되는 시설은?
  •  사회복지관
  •  자원봉사센터
  •  아동양육시설
  •  장애인 지역사회재활시설
  •  부자가족복지시설

185. 의료급여법상 의료급여기관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단, 법령에 따라 보건복지부장관이 의료급여기관에서 제외하는 경우는 고려하지 않음)
ㄱ. 농어촌 등 보건의료를 위한 특별조치법에 따라 설치된 보건진료소
ㄴ. 지역보건법에 따라 설치된 보건의료원
ㄷ. 약사법에 따라 설립된 한국희귀의약품센터
ㄹ. 약사법에 따라 개설등록된 약국
  •  ㄱ, ㄴ, ㄷ
  •  ㄱ, ㄷ
  •  ㄴ, ㄹ
  •  ㄹ
  •  ㄱ, ㄴ, ㄷ, ㄹ

186. 노인복지법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노인복지주택 입소자격자는 60세 이상의 노인이다.
  •  보건복지부장관은 요양보호사가 거짓으로 자격증을 취득한 경우 그 자격을 취소하여야 한다.
  •  누구든지 노인학대를 알게 된 때에는 노인보호전문기관 또는 수사기관에 신고할 수 있다.
  •  노인일자리전담기관에는 노인인력개발기관, 노인취업알선기관, 노인일자리지원기관이 있다.
  •  지방자치단체는 65세 이상의 자에 대하여 건강진단과 보건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187. 한부모가족지원법상 지원대상자인 아동으로 옳은 것은 모두 몇 개인가?
ㄱ. 부모의 생사가 분명하지 아니한 아동
ㄴ. 부모가 유기하여 부양을 받을 수 없는 아동
ㄷ. 부모가 신체의 질병으로 장기간 노동능력을 상실한 아동
ㄹ. 부모가 가정의 불화로 가출하여 부모의 부양을 받을 수 없는 아동
ㅁ. 부모의 장기복역으로 부양을 받을 수 없는 아동
  •  1개
  •  2개
  •  3개
  •  4개
  •  5개

188. 노인복지법상 노인학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지방자치단체는 노인학대를 예방하기 위하여 긴급전화를 설치하여야 한다.
  •  누구든지 노인학대를 알게 된 때에는 수사기관에 신고할 수 있다.
  •  누구든지 정당한 사유 없이 노인학대 현장에 출동한 자에 대하여 현장조사를 거부하여서는 아니 된다.
  •  부양의무자인 자녀는 노인을 위하여 지급된 금품을 그 목적외의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  노인학대신고를 접수한 노인보호전문기관의 직원은 지체없이 노인학대의 현장에 출동하여야 한다.

189. 사회보장기본법상 사회보장제도의 운영원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사회보장제도를 운영할 때에는 이 제도를 필요로 하는 모든 국민에게 적용하여야 한다.
  •  사회보험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으로 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사회보장제도의 정책 결정 및 시행 과정에 공익의 대표자 및 이해관계인 등을 참여시켜 이를 민주적으로 결정하고 시행하여야 한다.
  •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사회보장제도를 운영할 때에는 국민의 다양한 복지 욕구를 효율적으로 충족시키기 위하여 연계성과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
  •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사회보장제도의 급여 수준과 비용 부담 등에서 형평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190. 사회복지사업법상 사회복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사회복지사의 등급은 1급ㆍ2급으로 한다.
  •  보건복지부장관은 정신건강사회복지사ㆍ의료사회복지사ㆍ학교사회복지사의 자격을 부여할 수 있다.
  •  보건복지부장관은 사회복지사가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자격을 취득한 경우 그 자격을 1년의 범위에서 정지할 수 있다.
  •  사회복지법인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는 정기적으로 보수교육을 받아야 한다.
  •  자신의 사회복지사 자격증은 타인에게 빌려주어서는 아니 된다.

191.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상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이하 '모금회'라 한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모금회는 사회복지사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연중 기부금품을 모집할 수 있다.
  •  지방자치단체는 모금회에 기부금품 모집에 필요한 비용을 보조할 수 있다.
  •  배분분과실행위원회는 20명 이상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  모금회는 정관을 작성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의 허가를 받아 등기함으로써 설립된다.
  •  모금회는 매년 8월 31일까지 다음 회계연도의 공동모금재원 배분기준을 정하여 공고하여야 한다.

192. 사회복지법령의 역사적 변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973년 국민복지연금법이 제정되었으나 시행되지 못하고, 1986년 국민연금법으로 전부 개정되어 1988년부터 시행되었다.
  •  1999년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이 전부개정되면서 자활후견기관에 관한 규정이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  의료보험법과 공무원 및 사립학교교직원 의료보험법을 통합하여 1999년 국민건강보험법을 제정하였다.
  •  사회복지사업법은 1970년 제정되었고, 1983년 개정 때 사회복지사 자격제도가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  사회보장에 관한 법률을 대체하여 1995년 사회보장기본법이 제정되었다.

193. 사회복지사업법령상 기본이념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사회복지를 필요로 하는 사람은 누구든지 자신의 의사에 따라 서비스를 신청하고 제공 받을 수 있다.
ㄴ. 사회복지법인 및 사회복지시설은 공공성을 가지며 사회복지사업을 시행하는 데 있어서 공공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ㄷ. 사회복지사업을 시행하는 데 있어서 사회복지를 제공하는 자는 사회복지를 필요로 하는 사람의 인권을 보장하여야 한다.
ㄹ. 생활이 어려운 사람에게 필요한 급여를 실시하여 이들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고 자활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ㄱ, ㄴ, ㄷ
  •  ㄱ, ㄷ
  •  ㄴ, ㄹ
  •  ㄹ
  •  ㄱ, ㄴ, ㄷ, ㄹ

194. 사회복지법의 법원(法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대통령의 긴급명령은 법원이 될 수 없다.
  •  국무총리는 사회복지에 관하여 총리령을 직권으로 제정할 수 없다.
  •  법률의 위임에 의한 조례는 법률과 동등한 자격을 가진다.
  •  법령의 범위를 벗어난 조례는 법적 구속력이 없다.
  •  관습법은 사회복지법의 법원이 될 수 없다.

195. 사회복지사업법령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사회복지서비스의 신청은 시ㆍ군ㆍ구 복지담당공무원 외에는 할 수 없다.
  •  사회복지법인 감사의 임기는 2년이며, 연임할 수 없다.
  •  사회복지시설 거주자 대표는 해당 시설의 운영위원회 위원이 될 수 없다.
  •  지역복지계획의 내용에 복지수요의 측정 및 전망에 관한 사항은 포함되지 않는다.
  •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각 사회복지시설의 수용인원은 300명을 초과할 수 없다.

196. 사회보장기본법상 사회보장 기본계획에 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
보건복지부장관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사회보장 증진을 위하여 사회보장에 관한 기본계획을 (    )년 마다 수립하여야 한다.
  •  1
  •  2
  •  3
  •  4
  •  5

197. 아동복지법령상 지역아동보호전문기관의 업무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아동학대 신고접수, 현장조사 및 응급보호
ㄴ. 피해아동, 피해아동의 가족 및 아동학대행위자를 위한 상담ㆍ치료 및 교육
ㄷ. 아동학대예방 교육 및 홍보
ㄹ. 피해아동 가정의 사후관리
  •  ㄱ, ㄴ, ㄷ
  •  ㄱ, ㄷ
  •  ㄴ, ㄹ
  •  ㄹ
  •  ㄱ, ㄴ, ㄷ, ㄹ

198. 노인복지법령상 노인복지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노인복지주택은 노인주거복지시설이다.
  •  노인교실은 노인여가복지시설이다.
  •  노인학대 신고전화 운영은 지역노인보호전문기관의 업무이다.
  •  노인공동생활가정은 노인의료복지시설이다.
  •  방문요양서비스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은 재가노인복지시설이다.

199.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상 급여의 종류와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생계급여는 물품으로는 지급할 수 없다.
  •  생계급여는 수급자에게 주거 안정에 필요한 임차료, 수선유지비, 그 밖의 수급품을 지급하는 것으로 한다.
  •  장제급여는 자활급여를 받는 수급자가 사망한 경우 장제조치를 하는 것으로 한다.
  •  자활급여는 관련 비영리법인에 위탁하여 실시할 수 있다.
  •  교육급여는 보건복지부장관의 소관으로 한다.

200.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상 보장기관과 보장시설에 대한 예시이다. '보장기관 - 보장시설'을 순서대로 옳게 짝지은 것은?
ㄱ. 「장애인복지법」 제58조 제1항 제1호의 장애인 거주시설
ㄴ. 「사회복지사업법」 제2조 제4호의 사회복지시설 중 결핵 및 한센병요양시설
ㄷ. 대전광역시장
ㄹ. 전라남도지사
ㅁ. 인천광역시 교육감
  •  ㄱ - ㄴ
  •  ㄴ - ㅁ
  •  ㄷ - ㄱ
  •  ㄹ - ㄷ
  •  ㅁ - ㄹ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채점하기
hide
reset
타이머

모든 문제들의 저작권은 원저작권자에게 있습니다. 본 사이트는 웹상에 공개되어 있는 문제만 모아서 보여드립니다.
저작권 안내   데이터 보호 안내   제휴 문의

copyright 2025 뉴비티::새로운 CBT 시스템 - newb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