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11.11.1 아이피로부터 HTTP를 이용한 DoS공격이 들어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111.11.11.1은 협력사의 서버로 HTTP 통신은 하지 않지만 다른 업무상 통신은 주고 받아야 하는 상황이다. 일단 최소한으로 차단을 하되 차단되고 있다는 응답을 주고자 한다.
ㅇ 이 공격에 사용되는 메모리 영역은 malloc, free 등의 함수로 제어함 ㅇ 쉘 코드를 사용하기 위하여 함수의 반환 주소를 단순히 덮어 쓰는 방법은 사용할 수 없고, 버퍼에 할당된 포인터 값을 덮어 쓰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됨
( )는 /etc/hosts.deny와 /etc/hosts.allow 파일을 통하여 접근 통제를 구현한다.
John the Ripper, Wfuzz, Cain and Abel, THC Hydra
# iptables -A INPUT -s 172.10.10.10 -p tcp -j drop
ㅇ 목적지까지의 데이터 도달 여부를 획인하는 도구이다 ㅇ 네트워크와 라우팅의 문제점을 찾아내는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며, UDP 패킷을 이용해 진행경로의 추적과 패킷이 지나가는 IP 주소나 이름을 알아낼 수 있다. ㅇ 결과에서 응답시간이 *로 표시되는 경우 침입차단시스템 등의 접근통제리스트에 의해 패킷이 차단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어떤 기관에서 네트워크 블록 211.170.184.0/24가 할당 되었다. 네트워크 관리자는 이를 32개의 서브넷으로 나누고자 한다.
bye attack, cancel attack, RTP Flooding, ARP cache poisoning, ddos
로그온된 피해자의 취약한 웹 애플리케이션에 피해자의 세션 쿠키와 기타 다른 인증정보를 자동으로 포함하여 위조된 HTTP 요청을 강제로 보내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은 공격자가 취약한 애플리케이션의 피해자로부터의 정당한 요청이라고 오해할 수 있는 요청들을 강제로 만들 수 있다.
공격 대상이 방문할 가능성이 있는 합법적 웹사이트를 미리 감염시킨 뒤 잠복하였다가 피해자가 접속하면 감염시키는 공격으로 보안이 상대적으로 강한 대상에 대한 길목을 만들어 나가는 순차적 공격 기법이다. 웹 사이트들을 통해 공격 대상 기관의 직원들을 감염시키고, 그 직원을 매개체로 기관 내부에 침투할 수 있다.
동일한 패스워드를 사용하는 보안상의 취약점을 극복하여 일회성의 서로 다른 패스워드를 생성하게 함으로써 안전한 전자상거래를 진행한다.
이 솔루션은 인증을 통해 자산 및 사용자를 식별하고, 네트워크 접근권한 등을 부여하여 사용자 접속권한을 제어한다. 인가 받지 않은 단말에 대해 내부 네트워크 접근 통제가 가능하다.
Mon Feb 9 20:03:12 2014(1) 0 2*1.100.17.1*2 740(2) /home/boan/public_html/index.html(3) a U(4) d r boan FTP 0 * c
1. 클라이언트 → 서버 (제어 연결) 2. 클라이언트 ← 서버 (데이터전송 연결) 3. 클라이언트 ↔ 서버 (데이터 전송)
해커가 특정 기업, 기관 등의 HW 및 SW 개발, 공급과정 등 에 침투하여 제품의 악의적 변조 또는 제품 내부에 악성코드 등을 숨기는 행위로 최근에 국내 SW 개발사를 대상으로 SW가 제작되는 단계에서 설치파일 변조 침해사고가 여러 차례 확인된 바 있다. 이러한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개발환경 은 외부 인터넷을 차단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입력화면 폼 작성 시 (A) 방식보다는 (B) 방식을 사용하고, 입력화면 폼과 해당 입력을 처리하는 프로그램 사이에 (C)를 사용하여, 공격자의 직접적인 URL 사용이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중요한 기능에 대해서는 (D)와 더불어 (E)를 유도한다.
소인수분해란 하나의 ( ㉠ )를 소인수로 분해하는 것을 말한다. 충분히 큰 두 개의 ( ㉡ )를 곱하는 것은 쉽지만, 이들 결과를 소인수 분해한다는 것은 계산적으로 매우 어렵다. 일부 공개키 암호알고리즘은 이렇게 소인수 분해의 어려움에 기반을 두고 설계되었다.
( ㉠ ) 접근통제 : 시스템 객체에 대한 접근을 사용자 개인 또는 그룹의 식별자를 기반으로 제한하며 어떤 종류의 접근 권한을 갖는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에게 자신의 판단에 의해서 권한을 줄 수 있는 방법 ( ㉡ ) 접근통제 : 정보 시스템 내에서 어떤 주체가 특정 객체에 접근하려 할 때 양쪽의 보안 라벨(Security Label)에 기초하여 높은 보안 수준을 요구하는 정보(객체)가 낮은 보안 수준의 주체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접근을 제한하는 통제 방법 ( ㉢ ) 접근통제 : 사용자가 객체에 접근할 때, 사용자와 접근 허가의 직접적인 관계가 아닌 조직의 특성에 따른 역할을 매개자로 하여 사용자-역할, 접근 허가-역할의 관계를 통해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사용자 A가 서명자 B에게 자신의 메시지를 보여주지 않고, 서명을 얻는 방법을 말한다. 메시지의 기밀성을 지키면서 타인에게 인증을 받고자 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한다.
중개 업체에서 구매자의 대금을 받아서 보관하고 있다가 판매자가 물건을 발송하고 구매자가 물건을 정상적으로 수령한 경우 판매자에게 대금을 지급한다. 이 과정에서 일정량의 수수료를 수취한다.
1983년에 제정된 것으로, 오렌지북이라 불린다. 미국에서 제정한 컴퓨터시스템 평가기준이다. 이 기준에서 보안등급은 A,B,C,D로 구분되며 기본 요구사항으로는 보안정책, 책임성, 보증, 문서화 등이 있다.
비정상적인 일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말한다.
민간업체 등에서 개발한 정보보호시스템을 국제표준인 ISO 15408 및 ISO 18045를 이용하여 보안기능에 대한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증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안심하고 정보보호시스템 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