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공사기사 랜덤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1. 열전대를 이용한 열전 온도계의 원리는?
  • 1
     제벡 효과
  • 2
     톰슨 효과
  • 3
     핀치 효과
  • 4
     펠티에 효과

2. 무대 조명의 배치별 구분 중 무대 상부 배치 조명에 해당되는 것은?
  • 1
     Foot light
  • 2
     Tower light
  • 3
     Ceiling Spot light
  • 4
     Suspension Spot light

3. 방전개시 전압과 관계되는 법칙은?
  • 1
     스토크스의 법칙
  • 2
     페닝의 법칙
  • 3
     파센의 법칙
  • 4
     탈보트의 법칙

4. 전원을 넣자마자 곧바로 점등되는 형광등용의 안정기는?
  • 1
     점등관식
  • 2
     래피드스타트식
  • 3
     글로우스타트식
  • 4
     필라멘트 단락식

5. 접지도체에 피뢰시스템이 접속되는 경우 접지도체의 최소 단면적(mm2)은? (단, 접지도체는 구리로 되어 있다.)
  • 1
     16
  • 2
     20
  • 3
     24
  • 4
     28

6. 25℃의 물 10ℓ를 그릇에 넣고 2㎾의 전열기로 가열하여 물의 온도를 80℃로 올리는 데 20분이 소요되었다. 이 전열기의 효율(%)은 약 얼마인가?
  • 1
     59.5
  • 2
     68.8
  • 3
     84.9
  • 4
     95.9

7. 저항용접에 속하는 것은?
  • 1
     TIG 용접
  • 2
     탄소 아크 용접
  • 3
     유니온벨트 용접
  • 4
     프로젝션 용접

8. 천장면을 여러 형태의 사각, 삼각 등으로 구멍을 내어 다양한 형태의 매입기구를 취부하여 실내의 단조로움을 피하는 조명 방식은?
  • 1
     pin hole light
  • 2
     coffer light
  • 3
     line light
  • 4
     cornis light

9. 식염전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
     제조법에는 격막법과 수은법이 있다.
  • 2
     염소, 수소와 수산화나트륨의 제조 방법에 사용된다.
  • 3
     수은법에서 전해조의 애노드는 흑연, 캐소드는 수은을 사용한다.
  • 4
     격막법은 수은법보다 전류 밀도가 크고 생산성이 높다.

10. 저압의 전선로 및 인입선의 중성선 또는 접지측 전선을 애자의 빛깔에 의하여 식별하는 경우 어떤 빛깔의 애자를 사용하는가?
  • 1
     흑색
  • 2
     청색
  • 3
     녹색
  • 4
     백색

11. 레이저 가열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 1
     파장이 짧은 레이저는 미세가공에 적합하다.
  • 2
     에너지 변환 효율이 높아 원격가공이 가능하다.
  • 3
     필요한 부분에 집중하여 고속으로 가열할 수 있다.
  • 4
     레이저의 조사면적을 광범위하게 제어할 수 있다.

12. 피뢰시스템의 인하도선 재료로 원형 단선으로 된 알루미늄을 쓰고자 한다. 해당 재료의 단면적(mm2)은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KS C IEC 62561-2를 기준으로 한다.)
  • 1
     20
  • 2
     30
  • 3
     40
  • 4
     50

13. 저압인류애자에는 전압선용과 중성선용이 있다. 각 용도별 색깔이 옳게 연결된 것은?
  • 1
     전압선용 - 녹색, 중성선용 - 백색
  • 2
     전압선용 - 백색, 중성선용 - 녹색
  • 3
     전압선용 - 적색, 중성선용 - 백색
  • 4
     전압선용 - 청색, 중성선용 - 백색

14. 피뢰침을 접지하기 위한 피뢰도선을 동선으로 할 경우의 단면적은 최소 몇 mm2 이상으로 해야 하는가?
  • 1
     14
  • 2
     22
  • 3
     30
  • 4
     50

15. 양수량 30m3/min, 총 양정 10m를 양수하는데 필요한 펌프용 전동기의 소요출력(kW)은 약 얼마인가? (단, 펌프의 효율은 75%, 여유계수는 1.1 이다.)
  • 1
     59
  • 2
     64
  • 3
     72
  • 4
     78

16. 수은전지의 특징이 아닌 것은?
  • 1
     소형이고 수명이 길다.
  • 2
     방전전압의 변화가 적다.
  • 3
     전해액은 염화암모늄(NH4Cl)용액을 사용한다.
  • 4
     양극에 산화수은(HgO), 음극에 아연(Zn)을 사용한다.

17. 전기철도에서 궤도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 1
     침목
  • 2
     레일
  • 3
     캔트
  • 4
     도상

18. 전자빔으로 용해하는 고융점, 활성금속 재료는?
  • 1
     탄화규소
  • 2
     니크롬 제2종
  • 3
     탄탈, 니오브
  • 4
     철-크롬 제1종

19. 순금속 발열체의 종류가 아닌 것은?
  • 1
     백금(Pt)
  • 2
     텅스텐(W)
  • 3
     몰리브덴(Mo)
  • 4
     탄화규소(SiC)

20. KS C 8000에서 감전 보호와 관련하여 조명기구의 종류(등급)을 나누고 있다. 각 등급에 따른 기구의 설명이 틀린 것은?
  • 1
     등급 0 기구: 기초절연으로 일부분을 보호한 기구로서 접지단자를 가지고 있는 기구
  • 2
     등급Ⅰ기구: 기초절연만으로 전체를 보호한 기구로서 보호 접지단자를 가지고 있는 기구
  • 3
     등급Ⅱ 기구: 2중 절연을 한 기구
  • 4
     등급Ⅲ 기구: 정격전압이 교류 30V 이하인 전압의 전원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기구

전력공학


21. 일반 회로정수가 A, B, C, D 이고 송전단 전압이 ES 인 경우 무부하시 수전단 전압은?
  • 1
      
  • 2
      
  • 3
      
  • 4
      

22. 3상용 차단기의 정격 차단용량은?
  • 1
     √3 × 정격전압 × 정격차단전류
  • 2
     √3 × 정격전압 × 정격전류
  • 3
     3 × 정격전압 × 정격차단전류
  • 4
     3 × 정격전압 × 정격전류

23. 화력발전소의 위치를 선정할 때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 1
     전력 수요지에 가까울 것
  • 2
     바람이 불지 않도록 산으로 둘러싸여 있을 것
  • 3
     값이 싸고 풍부한 용수와 냉각수를 얻을 수 있을 것
  • 4
     연료의 운반과 저장이 편리하며 지반이 견고할 것

24. 전선의 표피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 1
     전선이 굵을수록, 주파수가 높을수록 커진다.
  • 2
     전선이 굵을수록, 주파수가 낮을수록 커진다.
  • 3
     전선이 가늘수록, 주파수가 높을수록 커진다.
  • 4
     전선이 가늘수록, 주파수가 낮을수록 커진다.

25. 송전계통에서 자동제폐로 방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
  • 1
     신뢰도 향상
  • 2
     공급 지정시간의 단축
  • 3
     보호계전 방식의 단순화
  • 4
     고장상의 고속도 차단, 고속도 재투입

26. 화력발전소에서 증기 및 급수가 흐르는 순서는?
  • 1
     절탄기 → 보일러 → 과열기 → 터빈 → 복수기
  • 2
     보일러 → 절탄기 → 과열기 → 터빈 → 복수기
  • 3
     보일러 → 과열기 → 절탄기 → 터빈 → 복수기
  • 4
     절탄기 → 과열기 → 보일러 → 터빈 → 복수기

27. 현수애자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 1
     애자를 연결하는 방법에 따라 클레비스(Clevis)형과 볼 소켓형이 있다.
  • 2
     애자를 표시하는 기호는 P이며 구조는 2~5층의 갓 모양의 자기편을 시멘트로 접착하고 그 자기를 주철재 base로 지지한다.
  • 3
     애자의 연결개수를 가감함으로써 임의의 송전전압에 사용할 수 있다.
  • 4
     큰 하중에 대하여는 2련 또는 3련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28. 전력용콘덴서를 변전소에 설치할 때 직렬리액터를 설치 하고자 한다. 직렬리액터의 용량을 결정하는 계산식은? (단, f0는 전원의 기본주파수, C는 역률 개선용 콘덴서의 용량, L은 직렬리액터의 용량이다.)
  • 1
      
  • 2
      
  • 3
      
  • 4
      

29. 증기터빈 출력을 P(kW), 증기량을 W(t/h), 초압 및 배기의 증기 엔탈피를 각각 i0, i1(kcal/kg)이라 하면 터빈의 효율 ηT(%)는?
  • 1
      
  • 2
      
  • 3
      
  • 4
      

30. 선간전압이 V(kV)이고 3상 정격용량이 P(kVA)인 전력계통에서 리액턴스가 X(ohm)라고 할 때, 이 리액턴스를 %리액턴스로 나타내면?
  • 1
      
  • 2
      
  • 3
      
  • 4
      

31. 그림과 같은 이상 변압기에서 2차 측에 5Ω의 저항 부하를 연결하였을 때 1차 측에 흐르는 전류(I)는 약 몇 A 인가?
  • 1
     0.6
  • 2
     1.8
  • 3
     20
  • 4
     660

32. 10000 kVA 기준으로 등가 임피던스가 0.4%인 발전소에 설치될 차단기의 차단용량은 몇 MVA 인가?
  • 1
     1000
  • 2
     1500
  • 3
     2000
  • 4
     2500

33. 고장전류의 크기가 커질수록 동작시간이 짧게 되는 특성을 가진 계전기는?
  • 1
     순한시 계전기
  • 2
     정한시 계전기
  • 3
     반한시 계전기
  • 4
     반한시 정한시 계전기

34. 전력계통 연계 시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 1
     단락전류가 감소한다.
  • 2
     경제 급전이 용이하다.
  • 3
     공급신뢰도가 향상된다.
  • 4
     사고 시 다른 계통으로의 영향이 파급될 수 있다.

35. 고압 배전선로 구성방식 중, 고장 시 자동적으로 고장개소의 분리 및 건전선로에 폐로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개폐기를 가지며, 수요 분포에 따라 임의의 분기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은?
  • 1
     환상식
  • 2
     망상식
  • 3
     뱅킹식
  • 4
     가지식(수지식)

36. 4단자 정수가 A, B, C, D인 송전선로의 등가 π회로를 그림가 같이 표현하였을 때 Z1에 해당하는 것은?
  • 1
     B
  • 2
     A/B
  • 3
     D/B
  • 4
     1/B

37. 밸런서의 설치가 가장 필요한 배전방식은?
  • 1
     단상 2선식
  • 2
     단상 3선식
  • 3
     3상 3선식
  • 4
     3상 4선식

38. 전력계통 설비인 차단기와 단로기는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인터록(interlock)을 설치 및 연계하여 운전하고 있다. 인터록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
     부하 통전시 단로기를 열 수 있다.
  • 2
     차단기가 열려 있어야 단로기를 닫을 수 있다.
  • 3
     차단기가 닫혀 있어야 단로기를 열 수 있다.
  • 4
     부하 투입 시에는 차단기를 우선 투입한 후 단로기를 투입한다.

39. 취수구에 제수문을 설치하는 목적은?
  • 1
     낙차를 높이기 위해
  • 2
     홍수위를 낮추기 위해
  • 3
     모래를 배제하기 위해
  • 4
     유량을 조정하기 위해

40. 송배전 선로에서 선택지락계전기(SGR)의 용도는?
  • 1
     다회선에서 접지 고장 회선의 선택
  • 2
     단일 회선에서 접지 전류의 대소 선택
  • 3
     단일 회선에서 접지 전류의 방향 선택
  • 4
     단일 회선에서 접지 사고의 지속 시간 선택

전기기기


41. 동기발전기에 회전계자형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한 이유로 틀린 것은?
  • 1
     기전력의 파형을 개선한다.
  • 2
     전기자가 고장자이므로 고압 대전류용에 좋고, 절연하기 쉽다.
  • 3
     계자가 회전자지만 저압 소용량의 직류이므로 구조가 간단하다.
  • 4
     전기자보다 계자극을 회전자로 하는 것이 기계적으로 튼튼하다.

42. 단상 유도전동기를 2전동기설로 설명하는 경우 정방향 회전자계의 슬립이 0.2이면, 역방향 회전자계의 슬립은 얼마인가?
  • 1
     0.2
  • 2
     0.8
  • 3
     1.8
  • 4
     2.0

43. 계자 권선이 전기자에 병렬로만 연결된 직류기는?
  • 1
     분권기
  • 2
     직권기
  • 3
     복권기
  • 4
     타여자기

44. 단면적 10cm2 인 철심에 200회의 권선을 감고, 이 권선에 60Hz, 60V인 교류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철심의 최대자속밀도는 약 몇 Wb/m2 인가?
  • 1
     1.126 × 10-3
  • 2
     1.126
  • 3
     2.252 × 10-3
  • 4
     2.252

45. 회전 전기자형 회전변류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
     회전자는 회전자계의 방향과 반대로 회전한다.
  • 2
     직류측 전압을 변경하려면 여자전류를 가감하여 조정한다.
  • 3
     기계적 출력을 발생할 필요가 없으므로 축과 베어링은 작아도 된다.
  • 4
     3상 교류는 슬립링을 통하여 회전자에 공급하며 회전자에 있는 정류자의 브러시에서 직류가 출력된다.

46. 스테핑 모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
     위치제어를 하는 분야에 주로 사용된다.
  • 2
     입력된 펄스 신호에 따라 특정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설계된 전동기이다.
  • 3
     스텝각이 클수록 1회전당 스텝수가 많아지고 축 위치의 정밀도는 높아진다.
  • 4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고 설정된 여러 위치에 정지하거나 해당 위치로부터 기동할 수 있다.

47. 변압기의 주요시험 항목 중 전압변동률 계산에 필요한 수치를 얻기 위한 필수적인 시험은?
  • 1
     단락시험
  • 2
     내전압시험
  • 3
     변압비시험
  • 4
     온도상승시험

48. 권수비가 a인 단상변압기 3대가 있다. 이것을 1차에 △, 2차에 Y로 결선하여 3상 교류 평형회로에 접속할 때 2차측의 단자전압을 V(V), 전류를 I(A)라고 하면 1차측의 단자전압 및 선전류는 얼마인가? (단, 변압기의 저항, 누설리액턴스, 여자전류는 무시한다.)
  • 1
      
  • 2
      
  • 3
      
  • 4
      

49. 극수가 4극이고 전기자권선이 단중 중권인 직류발전기의 전기자전류가 40A이면 전기자권선의 각 병렬회로에 흐르는 전류(A)는?
  • 1
     4
  • 2
     6
  • 3
     8
  • 4
     10

50. 그림은 직류전동기의 속도특성 곡선이다. 가동복권전동기의 특성곡선은?
  • 1
     A
  • 2
     B
  • 3
     C
  • 4
     D

51. 정격전압 220V, 무부하 단자전압 230V, 정격출력이 40kW인 직류 분권발전기의 계자저항이 22Ω, 전기자 반작용에 의한 전압강하가 5V라면 전기자 회로의 저항(Ω)은 약 얼마인가?
  • 1
     0.026
  • 2
     0.028
  • 3
     0.035
  • 4
     0.042

52. 단상 유도전동기의 분상 기동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
     보조권선은 높은 저항과 낮은 리액턴스를 갖는다.
  • 2
     주권선은 비교적 낮은 저항과 높은 리액턴스를 갖는다.
  • 3
     높은 토크를 발생시키려면 보조권선에 병렬로 저항을 삽입한다.
  • 4
     전동기가 기동하여 속도가 어느 정도 상승하면 보조권선을 전원에서 분리해야 한다.

53. 단자전압 110V, 전기자 전류 15A, 전기자회로의 저항 2Ω, 정격속도 1800rpm 으로 전부하에서 운전하고 있는 직류 분권전동기의 토크는 약 몇 N·m 인가?
  • 1
     6.0
  • 2
     6.4
  • 3
     10.08
  • 4
     11.14

54. 비돌극형 동기발전기 한 상의 단자전압을 V, 유도기전력을 E, 동기리액턴스를 Xs, 부하각이 δ이고, 전기자저항을 무시할 때 한 상의 최대출력(W)은?
  • 1
      
  • 2
      
  • 3
      
  • 4
      

55. 3상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법으로 틀린 것은?
  • 1
     1차 저항법
  • 2
     극수 제어법
  • 3
     전압 제어법
  • 4
     주파수 제어법

56. 철손 1.6kW, 전부하동손 2.4kW인 변압기에는 약 몇 % 부하에서 효율이 최대로 되는가?
  • 1
     82
  • 2
     95
  • 3
     97
  • 4
     100

57. 직류기에서 계자자속을 만들기 위하여 전자석의 권선에 전류를 흘리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 1
     보극
  • 2
     여자
  • 3
     보상권선
  • 4
     자화작용

58. 취급이 간단하고 기동시간이 짧아서 섬과 같이 전력계통에서 고립된 지역, 선박 등에 사용되는 소용량 전원용 발전기는?
  • 1
     터빈 발전기
  • 2
     엔진 발전기
  • 3
     수차 발전기
  • 4
     초전도 발전기

59. 분상 기동형 단상 유도전동기의 전원 측에 연결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변압기의 결선은?
  • 1
     환상 결선
  • 2
     대각 결선
  • 3
     포크 결선
  • 4
     스코트 결선

60. 3상 권선형 유도전동기 기동 시 2차측에 외부 가변저항을 넣는 이유는?
  • 1
     회전수 감소
  • 2
     기동전류 증가
  • 3
     기동토크 감소
  • 4
     기동전류 감소와 기동토크 증가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61. 그림과 같은 회로의 임피던스 파라미터 Z22는?
  • 1
     Z1
  • 2
     Z2
  • 3
     Z1 + Z2
  • 4
      

62. 기본 제어요소인 비례요소의 전달함수는? (단, K는 상수이다.)
  • 1
     G(s) = K
  • 2
     G(s) = Ks
  • 3
      
  • 4
      

63. 전달함수가 아래와 같은 2차 제어시스템의 감쇠 진동 주파수(ωd)는 약 몇 rad/sec인가?
  • 1
     4.0
  • 2
     4.3
  • 3
     5.6
  • 4
     6.0

64. 제어시스템의 주파수 전달함수가 G(jω) = j5ω 이고, 주파수가 ω = 0.02 rad/sec 일 때 이 제어시스템의 이득(dB)은?
  • 1
     20
  • 2
     10
  • 3
     -10
  • 4
     -20

65. 회로에서 0.5Ω 양단 전압(V)은 약 몇 V인가?
  • 1
     0.6
  • 2
     0.93
  • 3
     1.47
  • 4
     1.5

66. RC 직렬회로에 t=0일 때 직류전압 100V를 인가하면, 0.2초에 흐르는 전류(mA)는? (단, R=1000Ω, C=50㎌이고, 커패시터의 초기충전 전하는 없다.)
  • 1
     1.83
  • 2
     1.37
  • 3
     2.98
  • 4
     3.25

67. 회로에서 부하(Z₁, Z₂, Z₃) 전체에 대한 복소 전력은 약 몇 VA인가?
  • 1
     55.3 - j7.5
  • 2
     55.3 + j7.5
  • 3
     45 - j26
  • 4
     45 + j26

68. 제어시스템의 개루프 전달함수가 아래와 같이 주어질 때, 다음 중 K>0인 경우 근궤적의 점근선이 실수축과 이루는 각(°)은?
  • 1
     20°
  • 2
     60°
  • 3
     90°
  • 4
     120°

69. 특성방정식이 s3+2s2+Ks+10=0로 주어지는 제어시스템이 안정하기 위한 K의 범위는?
  • 1
     K>0
  • 2
     K>5
  • 3
     K<0
  • 4
     0<K<5

70. 전압 및 전류가 다음과 같을 때 유효전력(W) 및 역률(%)은 각각 약 얼마인가?
  • 1
     825W, 48.6%
  • 2
     776.4W, 59.7%
  • 3
     1,120W, 77.4%
  • 4
     1,850W, 89.6%

71. 다음과 같은 비정현파 교류 전압 v(t)와 전류 i(t)에 의한 평균전력은 약 몇 W 인가?
  • 1
     6.414
  • 2
     8.586
  • 3
     12.828
  • 4
     24.212

72. 3상 평형회로에서 Y결선의 부하가 연결되어 있고, 부하에서의 선간전압이 Vab = 100√3 ∠0°(V)일 때 선전류가 Ia = 20∠-60°(A)이었다. 이 부하의 한 상의 임피던스(Ω)는? (단, 3상 전압의 상순은 a-b-c이다.)
  • 1
     5∠30°
  • 2
     5√3∠30°
  • 3
     5∠60°
  • 4
     5√3∠60°

73. 2전력계법으로 평형 3상 전력을 측정하였더니 한 쪽의 지시가 500W, 다른 한 쪽의 지시가 1500W 이었다. 피상전력은 약 몇 VA인가?
  • 1
     2000
  • 2
     2310
  • 3
     2646
  • 4
     2771

74. 불평형 3상 회로에서 전압의 대칭분을 각각 I0, I1, I2전류의 대칭분을 각각 V0, V1, V2라 할 때 대칭분으로 표시 되는 복소전력은?
  • 1
     V0I*1+V1I*2+V2I*0
  • 2
     V0I*0+V1I*1+V2I*2
  • 3
     3V0I*1+V1I*2+V2I*0
  • 4
     3V0I*0+V1I*1+V2I*2

75. 단위 피드백제어계에서 개루프 전달함수 G(s)가 다음과 같이 주어졌을 때 단위계단 입력에 대한 정상상태 편차는?
  • 1
     0
  • 2
     1
  • 3
     2
  • 4
     3

76. 그림과 같은 함수의 라플라스 변환은?
  • 1
      
  • 2
      
  • 3
      
  • 4
      

77. 그림과 같은 제어시스템의 전달함수 C(s)/R(s)는?
  • 1
     1/15
  • 2
     2/15
  • 3
     3/15
  • 4
     4/15

78. 자동제어계 구성 중 제어요소에 해당되는 것은?
  • 1
     검출부
  • 2
     조절부
  • 3
     기준입력
  • 4
     제어대상

79. PD 조절기와 전달함수 G(s) = 1.2 + 0.02s 의 영점은?
  • 1
     -60
  • 2
     -50
  • 3
     50
  • 4
     60

80. 어떤 회로의 유효전력이 300W, 무효전력이 400var이다. 이 회로의 복소전력의 크기(VA)는?
  • 1
     350
  • 2
     500
  • 3
     600
  • 4
     700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81. 교통신호등 회로의 사용전압이 몇 V를 넘는 경우는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경우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누전차단기를 시설하는가?
  • 1
     60
  • 2
     150
  • 3
     300
  • 4
     450

82. 전압의 종별에서 교류 600V는 무엇으로 분류하는가?
  • 1
     저압
  • 2
     고압
  • 3
     특고압
  • 4
     초고압

83. 출퇴표시등 회로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변압기는 1차측 전로의 대지전압이 300V 이하, 2차측 전로의 사용전압은 몇 V 이하인 절연변압기이어야 하는가?
  • 1
     60
  • 2
     80
  • 3
     100
  • 4
     150

84. 22kV의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전선을 특고압 절연전선으로 시가지에 시설할 경우, 전선의 지표상의 높이는 최소 몇 m 이상인가?
  • 1
     8
  • 2
     10
  • 3
     12
  • 4
     14

85. 특고압용 타냉식 변압기의 냉각장치에 고장이 생긴 경우를 대비하여 어떤 보호장치를 하여야 하는가?
  • 1
     경보장치
  • 2
     속도조정장치
  • 3
     온도시험장치
  • 4
     냉매흐름장치

86. 지중전선로에 사용하는 지중함의 시설기준으로 틀린 것은?
  • 1
     지중함은 견고하고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에 견디는 구조일 것
  • 2
     지중함은 그 안의 고인 물을 제거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을 것
  • 3
     지중함의 뚜껑은 시설자 이외의 자가 쉽게 열 수 없도록 시설할 것
  • 4
     폭발성의 가수가 침입할 우려가 있는것에 시설하는 지우함으로서 그 크기가 0.5m3 이상인 것에는 통풍장치 기타 가스를 방산시키기 위한 적당한 장치를 시설할 것

87. 사용전압이 22.9kV인 특고압 가공전선로에서 1㎞마다 중성선과 대지 사이의 합성전기저항값은 몇 Ω 이하이어야 하는가? (단, 중성선 다중접지 방식의 것으로서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에 2초 이내에 자동적으로 이를 전로로부터 차단하는 장치가 되어 있는 것에 한한다.)
  • 1
     5
  • 2
     10
  • 3
     15
  • 4
     30

88. 사용전압 22.9kV의 가공전선이 철도를 횡단하는 경우, 전선의 레일면상의 높이는 몇 m 이상인가?
  • 1
     5
  • 2
     5.5
  • 3
     6
  • 4
     6.5

89. 저압전로에 사용하는 과전류차단기로 정격전류 30A의 배선용차단기에 60A의 전류가 통했을 경우 몇 분 내에 자동적으로 동작하여야 하는가?
  • 1
     2
  • 2
     6
  • 3
     10
  • 4
     15

90.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 지중 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으로 시설하는 경우 매설깊이는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2021년 변경된 KEC 규정 적용)
  • 1
     0.6
  • 2
     1.0
  • 3
     1.2
  • 4
     1.5

91. 사용전압이 특고압인 전기집진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케이블을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 방식 케이블 이외의 케이블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에는 몇 종 접지공사로 할 수 있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 1
     제1종 접지공사
  • 2
     제2종 접지공사
  • 3
     제3종 접지공사
  • 4
     특별 제3종 접지공사

92. 고압 옥측전선로에 사용할 수 있는 전선은?
  • 1
     케이블
  • 2
     나경동선
  • 3
     절연전선
  • 4
     다심형 전선

93. 제1종 또는 제2종 접지공사에 사용하는 접지선을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곳에 시설하는 경우,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을 적용받는 합성수지관(두께 2mm 미만의 합성수지제 전선관 및 난연성이 없는 콤바인덕트관 제외한다)으로 덮어야 하는 범위로 옳은 것은?
  • 1
     접지선의 지하 30cm로부터 지표상 1m까지의 부분
  • 2
     접지선의 지하 50cm로부터 지표상 1.2m까지 의 부분
  • 3
     접지선의 지하 60cm로부터 지표상 1.8m까지 의 부분
  • 4
     접지선의 지하 75cm로부터 지표상 2m까지의 부분

94. 연료전지 및 태양전지 모듈의 절연내력시험을 하는 경우 충전부분과 대지 사이에 인가하는 시험전압은 얼마인가? (단, 연속하여 10분간 가하여 견디는 것이어야 한다.)
  • 1
     최대사용전압의 1.25배의 직류전압 또는 1배의 교류전압(500V 미만으로 되는 경우에는 500V)
  • 2
     최대사용전압의 1.25배의 직류전압 또는 1.25배의 교류전압(500V 미만으로 되는 경우에는 500V)
  • 3
     최대사용전압의 1.5배의 직류전압 또는 1배의 교류전압(500V 미만으로 되는 경우에는 500V)
  • 4
     최대사용전압의 1.5배의 직류전압 또는 1.25배의 교류전압(500V 미만으로 되는 경우에는 500V)

95. 소세력회로의 최대 사용전압이 15V라면, 절연변압기의 2차 단락전류는 몇 A 이하이어야 하는가?
  • 1
     1
  • 2
     3
  • 3
     5
  • 4
     8

96. 교류 전차선 등과 삭도 또는 그 지주 사이의 이격거리를 몇 m 이상 이격하여야 하는가?
  • 1
     1
  • 2
     2
  • 3
     3
  • 4
     4

97. 가공 직류 전차선을 전용의 부지 위에 시설 시 레일면상의 높이는 몇 m 이상인가?
  • 1
     4.0
  • 2
     4.2
  • 3
     4.4
  • 4
     4.8

98. 저압 옥상전선로의 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
     전선은 절연전선을 사용한다.
  • 2
     전선은 지름 2.6mm 이상의 경동선을 사용한다.
  • 3
     전선은 상시 부는 바람 등에 의하여 식물에 접촉하지 않도록 시설한다.
  • 4
     전선과 옥상 전선로를 시설하는 조영재와의 이격거리를 0.5m 로 한다.

99. 저압전로에서 그 전로에 지락이 생긴 경우 0.5초 이내에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는 경우에는 특별 제3종 접지공사의 접지저항 값은 자동 차단기의 정격감도 전류가 30mA 이하일 때 몇 Ω이하로 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 1
     75
  • 2
     150
  • 3
     300
  • 4
     500

100. 저압 수상전선로에 사용되는 전선은?
  • 1
     옥외 비닐케이블
  • 2
     600V 비닐절연전선
  • 3
     600V 고무절연전선
  • 4
     클로로프렌 캡타이어 케이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채점하기
hide
reset
타이머

모든 문제들의 저작권은 원저작권자에게 있습니다. 본 사이트는 웹상에 공개되어 있는 문제만 모아서 보여드립니다.
저작권 안내   데이터 보호 안내   제휴 문의

copyright 2025 뉴비티::새로운 CBT 시스템 - newb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