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의 요구사항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일정한 주기를 반복하면서 개발하며 고객에게 시제품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며 고객의 요구사항이 정확하게 반영되고 있는지 점검한다. 폭포수 모형에 대비되는 유연한 방법론으로 비교적 소규모 개발 프로젝트에서 각광받고 있는 개발 방법론이다.
SELECT ... FROM ... WHERE 이름 LIKE ( A ) ORDER BY ( B )
( ) 스푸핑은 근거리 통신망 하에서 ( )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데이터 패킷을 중간에서 가로채는 중간자 공격 기법이다. 이 공격은 데이터 링크 상의 프로토콜인 ( )를 이용하기 때문에 근거리상의 통신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공격이다.
(1)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일반적인 감정이나 경험을 시스템 설계에 나타내는 개념 (2) 사용자가 시스템을 사용하는 화면과 이용방법, 입출력 과정 등을 표현적인 시스템 구성에 나타내는 개념
(1) 물리계층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여 안전한 정보의 전달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 (2)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기능 (3) 수신자에서 데이터의 압축을 풀수 있는 방식으로 된 데이터 압축
class A { int a; int b; } public class Main { static void func1(A m) { m.a *= 10; } static void func2(A m) { m.a += m.b;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A m = new A(); m.a = 100; func1(m); m.b = m.a; func2(m); System.out.printf("%d", m.a); } }
[TABLE]
Index | col1 | col2 |
---|---|---|
1 | 2 | Null |
2 | 3 | 6 |
3 | 5 | 5 |
4 | 6 | 3 |
5 | Null | 3 |
TestList = [1,2,3,4,5] TestList = list(map(lambda num : num + 100, TestList)) print(TestList)
[보기] 아래 주어진 항목들을 응용하여 괄호 안 코드를 작성. 변수 : m 연산자 : / , % 괄호 : [ , ] , ( , ) 정수 : 1000, 500, 100, 10
( 괄호 )은/는 여러 개의 사이트에서 한번의 로그인으로 여러가지 다른 사이트들을 자동적으로 접속하여 이용하는 방법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시스템 및 사이트에서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게 되는데 이때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여러 시스템을 하나의 통합 인증을 사용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즉 하나의 시스템에서 인증을 할 경우 타 시스템에서는 인증 정보가 있는지 확인하고 있으면 로그인 처리를 하도록 하고, 없는 경우 다시 통합 인증을 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산출물 등의 변경에 대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소프트웨어 리사이클 기간 동안 개발되는 제품의 무결성을 유지하고 소프트웨어의 식별, 편성 및 수정을 통제하는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실수를 최소화하고 생산성의 최대화가 궁극적인 목적이다. 관련 도구로는 CVS, SVN, Clear Case 등이 있다.
SELECT .... FROM 학생정보 a JOIN 학과정보 b ( A ) a.학과 = b.( B )
( )은/는 복잡한 시스템을 개발하기 쉽도록 클래스나 객체을 조합하는 패턴에 속하며, 대리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내부에서는 객체 간의 복잡한 관계를 단순하게 정리해 주고, 외부에서는 객체의 세부인 내용을 숨기는 역할을 한다.
ㅇ 전세계 오픈된 정보를 하나로 묶는 방식 ㅇ Linked data와 Open data의 합성어 ㅇ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사용 ㅇ RESTful 방식으로 볼 수 있으며, 링크 기능이 강조된 시멘틱 웹에 속하는 기술
#include int main(){ int *arr[3]; int a = 12, b = 24, c = 36; arr[0] = &a; arr[1] = &b; arr[2] = &c; printf("%dn", *arr[1] + **arr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