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ML은 통합 모델링 언어로써, 시스템을 모델로 표현해주는 대표적인 모델링 언어이다. 구성 요소로는 사물, ( 1 ), 다이어그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조 다이어그램 중, ( 2 ) 다이어그램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객체 타입을 정의하고, 그들 간의 존재하는 정적인 관계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한 다이어그램이다. 또한 UML 모델링에서 ( 3 )은/는 클래스와 같은 기타 모델 요소 또는 컴포넌트가 구현해야 하는 오퍼레이션 세트를 정의하는 모델 요소이다.
#include <stdio.h>
void main() {
int c=0;
int i=0;
while(i<10) {
i++;
c *= i;
}
printf("%d", c);
}
a. Equivalence Partitioning b. Boundary Value Analysis c. Base Path Test d. Loop Test e. Cause-effect Graph f. Decision Coverage g. Statement Coverage
[1] - 생성자가 여러 차례 호출되더라도 실제로 생성되는 객체는 하나이고 최초 생성 이후에 호출된 생성자는 최초의 생성자가 생성한 객체를 리턴한다. - 주로 공통된 객체를 여러개 생성해서 사용하는 DBCP(DataBase Connection Pool)와 같은 상황에서 많이 사용한다. [2] - 호스트 객체의 내부 상태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 호스트 객체에 연산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한다. - 이 패턴은 보통 합성 구조의 원소들과 상호 작용하는 데 사용되며, 기존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방법이다.
#include
void align(int a[ ]) {
int temp;
for (int i = 0; i < 4; i++) {
for (int j=0; j < 4 - i; j++) {
if (a[j]> a[j+1]) {
temp = a[j];
a[j] = a[j+1];
a[j+1] = temp;
}
}
}
main( ) {
int a[ ] = { 85, 75, 50, 100, 95 };
align(a);
for (int i = 0; i < 5; i++) printf("%d ", a[i]);
}
1. Xuejia Lai와 James Messey 가 만든 알고리즘으로 PES(Proposed Encryption Standard)에서 IPES(Improved PES)로 변경되었다가, 1991년에 제작된 블록 암호 알고리즘으로 현재 국제 데이터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사용되고 있다. 64비트 블록을 128비트의 key를 이용하여 8개의 라운드로 구성되어 있다. 2. 미국의 NSA에서 개발한 Clipper 칩에 내장되는 블록 알고리즘이다. 전화기와 같은 음성을 암호화 하는데 주로 사용되며 64비트 입출력에 80비트의 키 총 32라운드를 가진다.
(1) 최소 한 번은 모든 문장을 수행한다. (2) 결정(Decision) 검증 기준이라고도 하며 조건 별로 True/False일 때 수행한다. (3) (2)와 달리 전체 조건식에 상관없이 개별 조건식의 True/False에 대해 수행한다. [보기] 다중 조건 커버리지, 변형 조건 / 결정 커버리지, 조건 커버리지, 결정 커버리지, 구조 커버리지, 구문 커버리지
- 시스템이나 시스템 구성요소(component) 또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입력값과 출력값이 특정 그룹으로 분류되며, 분류된 그룹내의 값들이 시스템에 의해 동일하게 취급된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시험하는 기법 - 유사한 입력값들이 시스템을 거치면서 유사한 답변이 나온다는 것을 가정하여 테스트 - 하나의 값은 그 분할 내 모든 값을 대표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기법 - 모든 입력 값을 시험할 필요가 없게 하여 시험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원 - 일반적으로 경계값 분석기법(boundary value analysis)과 함께 테스트 케이스 도출하는데 사용
#include
struct good {
char name[10];
int age;
};
void main(){
struct good s[] = {"Kim",28,"Lee",38,"Seo",50,"Park",35};
struct good *p;
p = s;
p++;
printf("%sn", p-> name);
printf("%sn", p-> age);
}
CREATE TABLE 학생 (
학번 int,
이름 varchar(20),
학년 int,
전공 varchar(30),
전화번호varchar(20)
);
*****************************************
- [조건]
문자열의 경우 작은 따음표를 사용.(' ')
class good :
li = ["seoul", "kyeonggi","inchon","daejeon","daegu","pusan"]
g = good()
str01 = ''
for i in g.li:
str01 = str01 + i[0]
print(str01)
| 속성 | 설명 |
|---|---|
| (가) | 트랜잭션은 연산들을 전부 실행하든지 전혀 실행하지 않아야 한다. 일부만 실행해서는 안 된다. |
| 일관성 |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실행되면 데이터베이스 상태는 모순되지 않고 일관된 상태가 된다. |
| (나) | 트랜잭션 실행 도중의 연산 결과는 다른 트랜잭션에서 접근할 수 없다. |
| 지속성 | 트랜잭션이 성공했을 경우 영구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
(1) 인터넷에서, 웹 서버와 사용자의 인터넷 브라우저 사이에 문서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규약을 말한다. 인터넷에서 하이퍼텍스트(hypertext) 문서를 교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통신규약이다. 이 규약에 맞춰 개발해서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되었다. (2) 문자, 그래픽, 음성 및 영상을 하나의 연상 거미집(Web of Association)과 같이 서로 연결시켜, 제시된 순서에 관계없이 이용자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제공 방법이다. 즉, 한 페이지에서 링크된 순서에 상관없이 사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클릭함으로써 원하는 정보에 쉽게 접근하는 방식을 말한다. (3) 웹 페이지 표시를 위해 개발된 지배적인 마크업 언어다. 또한, 제목, 단락, 목록 등과 같은 본문을 위한 구조적 의미를 나타내는 것뿐만 아니라 링크, 인용과 그 밖의 항목으로 구조적 문서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것은 미국 NBS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현재 NIST)에서 국가 표준으로 정한 암호 알고리즘으로, 64비트 평문을 64비트 암호문으로 암화하는 대칭키 암호 알고리즘이다. 키는 7비트마다 오류검출을 위한 정보가 1비트씩 들어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56비트이다. 현재는 취약하여 사용되지 않는다.
( 괄호 )은/는 인터넷을 통해 디바이스 간에 사설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며, 퍼블릭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안전하게 익명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사용자 IP 주소를 마스킹하고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수신 권한이 없는 사람이 읽을 수 없도록 한다.